목차
책머리에
제1부 한국문학과 공공성의 성찰
타자의 인식과 공공성의 성찰: 배수아·공선옥·전성태의 작품
공동체와 소통의 상상력: 권여선·윤성희·김미월의 작품
한국문학과 민주주의, 평등의 의미를 돌아보다
‘가능한 미래’를 성찰하는 문학: 한국소설에서의 ‘전망’ 문제
비평의 질문은 어떻게 귀환하는가: 신경숙 소설과 90년대 문학비평 담론
제2부 페미니즘과 공공의 삶, 그리고 문학
페미니즘 비평과 ‘혐오’를 읽는 방식
페미니즘과 공공의 삶, 그리고 문학
시간 속을 여행하는 어머니: 봉준호 「마더」
낭만적 사랑은 어떻게 부정되는가: 이만교·정이현의 작품
페넬로페의 복화술: 공선옥·천운영·윤성희의 작품
예술적 구원과 자아발견의 여정: 강석경론
식민지 현실과 모성의 재현 양상: 백신애론
도시의 거울에 갇힌 나르키소스: 김승옥론
제3부 장편소설의 현재와 가능성
장편소설의 현재와 가족서사의 가능성: 천명관·김이설·최진영의 작품
장편소설의 곤경과 활로: 김려령·구병모의 작품
역사를 호명하는 장편소설: 공선옥·한강의 작품
역사적 사실과 문학적 진실의 경계: 홍석중 『높새바람』
제4부 이야기의 미래
사라진 ‘아비’와 글쓰기의 기원
망각과 기억의 사이
성장서사와 균열의 상상력
전도된 시선의 비밀: 하성란론
도시의 꿈과 기억, 그리고 어떤 만남: 강영숙론
‘세계의 끝’에서 시작되는 이야기의 모험: 윤이형론
발표지면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