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장 고기 요리에 관한 Q & A Q1 작은 부위의 고기를 구우려면? / 야스오 히데아키(콘비비아리테) Q2 작은 부위의 고기를 구우려면? / 스기모토 게이조(레스토랑 라 피네스) Q3 두께가 얇은 고기를 구우려면? / 나카무라 야스하루(비스트로 데자미) Q4 큰 덩어리 고기를 구우려면? / 사카모토 켄(첸치) Q5 두꺼운 덩어리 고기를 구우려면? / 요코자키 사토시(오구르망) Q6 L본 스테이크를 뼈에 붙은 부분까지 잘 구우려면? / 다카야마 이사미(카르네야 사노만스) Q7 T본 스테이크를 레어로 구우려면? / 야마자키 나츠키(엘 비스테카로 데이 마냐쵸니) Q8 드라이 에이징 비프를 구우려면? / 다카라 야스유키(긴자 레캉) Q9 마블링이 많은 고기를 느끼하지 않게 구우려면? / 데지마 준야(오텔 드 요시노) Q10 붉은 살코기를 베리 레어로 구우려면? / 고바야시 구니미츠(레스토랑 고바야시) Q11 붉은 살코기를 촉촉하게 구우려면? / 아리마 구니아키(팟소 아 팟소) Q12 붉은 살코기를 제대로 구우려면? / 호리에 준이치로(리스토란테 이 룬가) Q13 고기를 상온에 놔둘 시간이 없을 때는? ① / 다카야마 이사미(카르네야 사노만스) Q14 고기를 상온에 놔둘 시간이 없을 때는? ② / 가와이 겐지(앙드세쥬르) Q15 저온의 프라이팬에서 구우려면? / 나카하라 후미타카(레느 데 프레) Q16 통닭을 바삭하고 육즙 가득하게 튀기려면? / 미나미 시게키(이완스이) Q17 존재감 있는 커틀릿을 만들려면? / 기타무라 마사히로(다 오르모) Q18 속을 채운 고기를 잘 구우려면? / 후루야 소이치(르칸케) Q19 실패하지 않는 고기파이를 만들려면? / 데지마 준야(오텔 드 요시노) Q20 가벼운 맛이 나는 고기파이를 만들려면? / 고바야시 구니미츠(레스토랑 고바야시) Q21 인상적인 쌈구이를 만들려면? ① / 야스오 히데아키(콘비비아리테) Q22 인상적인 쌈구이를 만들려면? ② / 기시모토 나오토(람베리 나오토 기시모토) Q23 빵까지 맛있게 먹을 수 있는 빵구이를 만들려면? / 가와이 겐지(앙드세쥬르) Q24 단시간에 고기에 향이 배게 구우려면? / 니이야마 시게지(라이카 세이란쿄) Q25 단시간 가열해 조림을 만들려면? / 오쿠다 도루(긴자 고주) Q26 깔끔한 감칠맛이 나는 찜을 만들려면? / 이소가이 다카시(크레센트) Q27 붉은 살코기를 퍼석해지지 않게 익히려면? / 나카무라 야스하루(비스트로 데자미) Q28 모든 식재료가 잘 어우러진 찜을 만들려면? / 야마자키 나츠키(엘 비스테카로 데이 마냐쵸니)
셰프 소개 셰프 50명이 사용하는 고기 브랜드 대공개 셰프 50명에게 ‘고기에 대한 생각’을 묻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