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국제정치와 안보상황이라는 거시적 분석수준에서 풀었다. 국제정치 상황이란 구체적으로, 1968년의 사건들로 상징되는 북한의 강도 높은 도발과, 닉슨의 중공 방문으로 상징되듯 어제의 적이 오늘의 벗으로 돌변하기도 하는 냉혹한 동아시아 국제정치 현실이다.
목차
책머리에
서론 10월유신에 대한 국제정치구조적 접근
박정희에 대한 객관적 연구의 필요성
연구의 방법
분석의 수준(Levels of Analysis)
주변 환경에 초점을 맞춘 분석수준(System Level Analysis)
자료의 문제
제1장 1960년대 국내외 안보환경
5ㆍ16쿠데타의 발발과 그 배경
현대화·조직화된 최정예 집단, 한국 군부
한국 군부의 정치 개입 배경
5ㆍ16쿠데타의 목적
한·미동맹 강화를 통한 국가안보 태세 확립
경제발전: 강병(强兵)보다 부국(富國)이 먼저
박정희 집권 초기의 국제안보 상황
1961년의 한국과 북한
박정희가 당면한 1960년대의 국제안보 환경
베트남전쟁의 확전
베트남 파병과 한·미관계
보이지 않는 갈등 요인, 한국 내 미군
1960년대 북한의 대남 군사위협
4대군사노선을 통한 북한 군사력의 대폭 강화
북한의 대남 게릴라전쟁 시도
1.21 청와대 습격 사건
푸에블로호 피랍 사건
미국의 즉각적 대처와 한국의 불만
미국의 태도에 대한 박정희의 분노
EC121기 격추 사건과 미국의 맥없음
제2장 닉슨 독트린: 충격과 대책
닉슨 독트린의 배경
닉슨 독트린과 한반도
주한 미군 철군
미국의 중국 승인과 중국의 안보리 진출
일본의 강대국화
지속되는 북한의 대남 군사도발
제3장 국가총동원체제를 위한 구상
국제정치 구조 변화에 대한 박정희의 인식과 대책
평화주의자 박정희의 좌절
국가안보 우선주의의 태동
박정희의 국내적, 국제적 대응책들
국군 현대화와 향토예비군 창설
중화학공업 위주의 경제발전
남북대화의 개시
제4장 김일성과의 대결에서 승리하다
유신체제를 어떻게 보아야 할까
박정희와 김일성의 대결
결론 박정희 시대 ‘도전과 응전’의 교훈
참고문헌
후기 후배들도 승리하고 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