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논쟁 극장 : 『홍루몽』을 둘러싼 20세기 중국 지성계의 지적 모험
발행연도 - 2019 / 지음: 류멍시 ; 옮김: 한혜경 / 글항아리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2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453145
-
ISBN
9788967356385
-
형태
815 p. 23 cm
-
한국십진분류
문학
>
중국문학
>
소설
-
카테고리분류
인문
>
인문학 일반
>
교양 인문학
책소개
홍학에서 불거졌던 문제들을 열일곱 차례에 걸친 논쟁, 아홉 가지 공안, 네 가지 풀리지 않는 수수께끼와 세 가지 옭매듭 등으로 나누어 정리한 책이다. 당시에 『홍루몽』과 관련하여 과연 어떤 논쟁들이 벌어졌는지를 알 수 있다.
목차
한국어판 서문
제서題序
제1장 『홍루몽』과 백 년 중국
들어가는 말
상편: 백 년 세월에 찌그러진 바둑판 뒤엎을 자 그 누구던가
하편: 하룻밤 시간으로 그 누구를 탓할 수 있으랴
제2장 『홍루몽』과 홍학
저명 학문으로 자리 잡은 당대 현학
학문의 명칭이 된 소설
홍학의 초학문적 특성
『홍루몽』과 민족문화 전통
홍학과 중국 문예학
새로운 패러다임의 가치
제3장 홍학紅學과 조학曹學
조학의 배경
조설근의 특이한 인생 여정
조인曹寅의 역사적 존재감
옹정雍正의 권력 찬탈과 조씨 가문의 몰락
조부曹頫의 가산 몰수 배경에 대한 소견
새로운 자료에서 드러난 모순들
제4장 고증파 홍학의 위기와 활로
후스와 위핑보: 역사 고증과 문학 고증
고증파 홍학의 집대성자 저우루창
우언위吳恩裕와 우스창吳世昌의 공헌
고증파 홍학의 총력전
위기 속의 활로 모색
홍학 고증의 범위와 불균형
제5장 색은파 홍학의 탄생과 부활
색은파 홍학 출현의 내재적 요인
초기 색은파의 각종 추측들
청말 민초 삼대 색은파의 하나: 명주가사설明珠家事說
청말 민초 삼대 색은파의 둘: 왕멍롼·선핑안의 『홍루몽색은』─청 세조와 동악비고사설
청말 민초 삼대 색은파의 셋: 차이위안페이의 『석두기색은』─강희 시대 정치상황설
덩쾅옌鄧狂言의 『홍루몽석진紅樓夢釋眞』
고증파에 타격을 입은 색은파 홍학의 향방
색은파 홍학 탄생의 시대적 배경과 문화적 환경
해외 색은파의 부활
색은파 홍학의 종결
제6장 소설 비평파 홍학의 흥기와 발전
평점파와 소설 비평
왕궈웨이王國維의 『홍루몽평론紅樓夢評論』
위핑보兪平伯의 문학 고증파 홍학과 소설 비평파 홍학의 합류
고증파 홍학 천하에서의 소설 비평파 홍학
1950년대 이후의 소설 비평파 홍학: 그 가지와 열매
변형된 소설 비평과 홍학의 갈림길
소설 비평파 홍학의 종합적인 성과
제7장 홍학 관념과 홍학 방법의 충돌
『홍루몽』의 “본사本事”를 어떻게 볼 것인가?
곡해로 점철된 위핑보의 ‘자전설自傳說’
홍학 삼파 간의 충돌과 융합
제8장 복잡다단한 홍학의 세계
상편 홍학 논쟁
중편 홍학 현안
하편 홍학의 미스터리와 홍학의 “옭매듭”
제9장 홍학에 던지는 실없는 한마디
상편: 먹을 것이 떨어진 새는 숲으로 날아든다
하편: 이 야터우(오리대가리)는 저 야터우(시녀)가 아니니
제10장 백 년 홍학으로 색은을 말하다
차이위안페이의 『석두기색은』 재검토
“비천한 아녀자의 굴종지도妾婦之道”에 대한 조설근의 반감
『유여시별전』과 『홍루몽』
후기
참고문헌
주
『홍루몽』의 판본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1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1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