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고대에서 조선까지 한국의 희곡사와 연극사를 조망한 책. 전형적 작품을 골라, 그 희곡적 실상과 연행 양상, 나아가 문학, 예술사상의 위상까지 검증하는데 주력하였다.
목차
책머리에
제1부 고려~신라시대의 형성 양상
제1장_ 공무도하전승의 희곡적 전개
1. 서론
2. 원전의 계통과 성격
3. 공무도하전승의 연극적 면모
4. 공무도하전승의 희곡적 실상
5. 결론
제2장_ 「원효불기」의 희곡적 성격
1. 서론
2. 「원효불기」의 형성 경위
3. 「원효불기」의 문학적 실상
4. 결론
제3장_ 「영재우적」의 연행 양상
1. 서론
2. 「영재우적」의 찬성 경위
3. 「영재우적」의 문학적 실상
4. 「영재우적」의 연행 양상
5. 결론
제2부 고려시대의 발전 양상
제1장_ 고려시대 희곡의 형태와 유통 양상
1. 서론
2. 고려시대 연극과 희곡 형태
3. 고려시대 희곡의 전개 양상
4. 결론
제2장_ 고려가요의 서사성과 연행 양상
1. 서론
2. 고려가요의 원전과 원형
3. 고려가요의 서사적 구조
4. 고려가요의 연행 양상
5. 결론
제3장_ 「동명왕편」의 희곡적 성격
1. 서론
2. 「동명왕편」의 강창문학적 성격
3. 「동명왕편」의 연행적 양상
4. 「동명왕편」의 희곡적 실상
5. 결론
제4장_ 「금독태자전」의 공연 양상
1. 서론
2. 「금독태자전」의 찬성 경위와 성격
3. 「금독태자전」의 희곡적 실상
4. 「금독태자전」의 공연 양상
5. 「금독태자전」의 문예사적 위상
6. 결론
제3부 조선시대의 전개 양상
제1장_ 『월인석보』의 연극구조와 희곡적 전개
1. 서론
2. 『월인석보』의 종합문학적 면모
3. 『월인석보』의 유통과 수용 양상
4. 『월인석보』의 희곡적 실상
5. 『월인석보』의 문학사적 위상
6. 결론
제2장_ 『악학궤범』의 희곡론적 고찰
1. 서론
2. 『악학궤범』의 음악 이론과 공연적 실제
3. 『악학궤범』 공연대본의 희곡적 실상
4. 『악학궤범』 의물ㆍ관복의 희곡적 요건
5. 결론
제3장_ 심청전승의 희곡적 전개
1. 서론
2. 원전ㆍ자료의 문제
3. 근원ㆍ형성의 문제
4. 주제ㆍ사상의 문제
5. 구조ㆍ구성의 문제
6. 문체ㆍ장르의 문제
7. 유통ㆍ연행의 문제
8. 역사적 위상의 문제
9.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