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책머리에
1장 서론 1930년대 한국 모더니즘소설 연구의 새 지평을 찾아서
1. 연구의 목적과 문제의식
2. 1930년대 한국 모더니즘소설 (재)범주화의 세 갈래 길
2장 모더니즘소설 범주화, 특성화의 계보
1. 동향과 문제
2. 1930년대 한국 모더니즘소설의 호명 과정
3. 한국 근대 모더니즘소설 범주 (재)구성의 문제
4. 서구 모더니즘소설 이론화의 양상
5. 한국 모더니즘소설 연구의 나아갈 길
3장 이상 소설과 재현의 미학, 그리고 모더니즘
1. 문제와 대상
2. 처녀작의 공과-[십이월 십이일]
3. 이상 초기 소설의 기원적 성격-[지도의 암실]과 [휴업과 사정]
4. 이상과 재현의 미학-부부관계 삼부작 [지주회시], [날개], [봉별기]의 세계
5. 1930년대 한국 모더니즘소설의 한 극점-[동해]와 [종생기]
6. 이상 소설문학의 특징과 모더니즘
4장 최재서의 1930년대 중기 문단 재구성 기획과 모더니즘의 호명
1. 문제 제기 및 논의의 방향
2. 1930년대 최재서 비평의 성격과 주안점
3. [리얼리즘의 확대와 심화]의 의도와 [천변풍경], [날개]
4. [리얼리즘의 확대와 심화]의 의의-모더니즘론의 양면
5. 문제와 과제
5장 결론 1930년대 한국 모더니즘소설의 범주화 시론
1. 한국 모더니즘소설 연구의 기본자세
2. 1930년대 한국 모더니즘소설의 범주화 방안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