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중주의 개념은 어디에서 비롯된 것인가? 극중주의가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 극중주의는 중용, 실용, 탈이데올로기라는 명목으로 적어도 표면적으로는 좌-우의 대립을 지양하는 듯 보이지만 실제로는 사회의 구조적, 근본적 문제는 제쳐 두고 절차의 문제에만 집착할 뿐이라고 알랭 드노는 말한다.
목차
프롤로그
01 : ‘좌파이긴 하지만……’ 02 : 모범주의 투쟁 03 : 자유? 자유주의? 04 : ‘모두 엿 먹어라!’ 05 : 그리고 결국, 어떤 연대도 해체되고 만다 06 : ‘우파이긴 하지만……’ 07 : 신념을 아껴 두는 법 08 : 별 볼일 없는 사람 09 : 평범한 중산층 독자가 알지 못하는 것 10 : 그들이 차지하고 있는 세상 11 : ‘보수주의자이긴 하지만……’ 12 : ‘바보가 되시오!’ 13 : 좌? 우? 14 : 경계 좌파 15 : ‘극우’라는 환상 16 : ‘솔직하라’ 17 : 다시 폭압의 구덩이로 18 : 정치가 존재하는 이유 19 : 음모론자들 20 : 분노와 암흑의 세계 21 : 메디오크라시 22 : 모호함을 견뎌 낼 인내심 23 : 그럼에도 불구하고 24 : 내가 뭘 할 수 있겠느냐고?
해설 중도, 그 참을 수 없는 가벼움 참고자료
서가브라우징
강남좌파: 민주화 이후의 엘리트주의 2011 / 지음: 강준만 / 인물과사상사
강남 좌파. 2, 왜 정치는 불평등을 악화시킬까? 2019 / 지음: 강준만 / 인물과사상사
좌파적 사고 왜, 열광하는가?2019 / 지음: 공병호 / 공병호연구소
엘리트가 버린 사람들 : 그들이 진보에 투표하지 않는 이유 2019 / 지음: 데이비드 굿하트 ; 옮김: 김경락 / 원더박스
급진의 20대 : K-포퓰리즘-가장 위태로운 세대의 2022 / 지음: 김내훈 / 서해문집
급진의 20대 : K-포퓰리즘-가장 위태로운 세대의 2022 / 지음: 김내훈 / 서해문집
내전, 대중 혐오, 법치 : 신자유주의는 어떻게 지배하는가 2024 / 지음: 피에르 다르도 [외] ; 옮김: 정기헌 / 원더박스
가짜 중도 : 한없이 나약하고 터무니없이 가벼운 중도정치의 민낯2018 / 지음: 알렝 드노 ; 옮김: 권희선 ; 그림: 클레망 드 골작 / 인문결
에드먼드 버크와 토머스 페인의 위대한 논쟁 : 보수와 진보의 탄생2016 / 유벌 레빈 지음 ; 조미현 옮김 / 에코리브르
누가 포퓰리스트인가 : 그가 말하는 '국민' 안에 내가 들어갈까2017 / 지음: 얀 베르터 뮐러 ; 옮김: 노시내 / 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