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더 생각 인문학 시리즈 2권. 대한민국 대표 분단문학 작가들의 이야기를 직접 듣고 기록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2년에 걸쳐 전상국, 현기영, 문순태, 임철우, 이순원 작가를 차례로 만나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머리말. 분단국가의 ‘기억-망각’에 맞서
1장 현기영 작가 -오욕의 역사, 민중의 역사
장부의 죽음과 제주 공동체의 몰락
4·3은 아직도 진행 중
부인(否認)된 역사, 민중의 역사
4·3의 죽음이 말하는 평화
4·3 트라우마 - 미완의 민주주의
항쟁의 역사로서 제주 4·3
트라우마 치유는 ‘사과’로부터
한 장 요약〉 진실성 있는 사과와 용서를 바라며
2장 전상국 작가 -우리 마음속 지뢰밭
유년의 기억을 바탕으로 한 객관화
만남 그리고 갈등의 악순환
‘현재’에서 시작하는 뿌리 찾기
타인의 아픔에 손 내밀기
상실된 부권의 회복
우리 마음속 지뢰밭
통일에 대한 상상은 독자의 몫
공통의 문화를 만들어가길
한 장 요약〉 모두가 비극적인 역사의 피해자
3장 문순태 작가 -상처의 기억과 공동체적 삶
빨치산이 된 농사꾼
진정한 치유는 복수가 아닌 해한(解恨)
화해를 위한 귀향
두렵고도 그리운 고향
고향, 큰 가마솥의 공동체
기록되지 않는 역사의 복원
망각될 수 없는 기억, 5월 광주
분단 속 위험, 국가폭력의 재발 가능성
한 장 요약〉 파괴된 공동체의 복원과 치유를 위한 해한
4장. 임철우 작가 -산 자와 죽은 자, 과거와 현재
고향, 죽음에 대한 기억
전쟁과 학살의 끝없는 기억
부정할 수 없는 삶의 역사, 분단
1,000명이 증언한 3일의 기억
죽은 자에 대한 애도, 살아남은 자에 대한 애도
생존자의 무게, 죄의식
한 장 요약〉 망각이 아닌 기억으로서 치유
5장 이순원 작가 -잊힌 역사, 잃어버린 시간
작품 속 지명이 실제 지명으로
소를 징발한 사람들은 국군
양진의 기차역과 잊힌 역사
수복지구의 잃어버린 시간
25년이 지나도 이데올로기에 묶여 있는 양진
상처뿐인 고향, 그래도 가고픈 고향
침묵 그리고 우클릭!
분단 시대에서 작가의 자기 검열
남북 교류, 쉬운 문화 교류부터
질곡의 현대사가 남긴 삼팔 콤플렉스
남과 북을 잇는 금강산 트레킹 길을 만들자 !
한 장 요약〉 지워진 역사에 기록의 길을 연다
인터뷰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