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총서문
이끄는 말: 1949년 "마오쩌동의 승리"
제1절 태평양 대안: ‘잃어버린 중국’이 몰아온 파장
제2절 동아 대국: ‘흥기’의 희열
제3절 이론 지침: 신민주주의 이론
제1장 근대 중국의 기본 문제와 출로의 선택
제1절 기본 문제: 구국과 발전
제2절 위원(魏源)에서 손중산(孫中山)까지: 중국은 어느 곳을 향해 갔나?
제3절 청년 마오쩌동의 선택
제2장 국정분석론(國情分析論)
제1절 논리의 기점: 국정분석
제2절 계급구성
제3절 주요모순
제3장 혁명전략론
제1절 1대강령으로부터 2대강령까지
제2절 두 강령의 첫 번째 인식오류
제3절 산골속의 마르크스·레닌주의
제4절 ‘두 걸음’의 혁명발전론
제4장 ‘혁명의 길’ 이론
제1절 탐색의 길: 민중운동에서 무장투쟁으로
제2절 탐색의 길: ‘도시중심론’에서 “농촌에서 도시를 포위하다”로
제3절 산골짜기의 마르크스ㆍ레닌주의
제5장 통일전선론
제1절 국정과 통일전선
제2절 정치기초론
제3절 영도권론
제4절 책략론
제6장 당의 건설론
제1절 국정(國情), 당정(黨情)과 당건(黨建)
제2절 당내투쟁론
제3절 사상으로 당을 건설하다.
제4절 ‘위대한 공정’과 4대 건설
제7장 민주정치론
제1절 ‘신민주’사회
제2절 민주정권론
제3절 당정관계론
제8장 경제건설론
제1절 발전의 선택: 신민주주의 경제
제2절 자본주의 운명에 대한 사고
제3절 "농사를 짓는 자가 밭을 소유하는 것(耕者有其田)"에서 '합작사(合作社)'로 발전
제4절 경제건설 구상
제9장 문화건설론
제1절 구국과 발전의 외침: 신문화(新文化)
제2절 혁명문예론
제3절 인민교육론
제4절 지식인 문제에 대한 득실 분석
제10장 철학론
제1절 ‘결합’의 철학
제2절 철학연구와 당의 사상노선
제3절 실천법칙의 탐색
제4절 중국의 사회변혁과 마오쩌동의 방법론 사상
제5절 마오쩌동 철학과 스탈린 철학의 관계
참고문헌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