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혁명 이후 러시아 사회의 변화를 이미지, 일상의 경험과 관련지어 연구해온 박원용 교수의 <소비에트 러시아의 신체문화와 스포츠>. 저자는 이 책에서 '스포츠'라는 소재를 활용해 1920년대 이후 소련 사회의 변화 과정을 설명하고, 동시에 올림픽 무대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던 소련과 미국의 '열전'을 소개한다.
목차
들어가며
프롤로그
자본주의 체제와 사회주의 체제의 여가
부분적 조망에서 전체적 조망으로 이끄는 역사인식
1부 스포츠와 신체문화 - 소비에트 신인간형 창조과정의 긴장
1장 호모 소비에티쿠스
1. 교육 체제 개혁을 통한 호모소비에티쿠스 창출
2. 신체문화와 호모 소비에티쿠스: 이념의 계보와 이론적 논의
2장 1920년대의 신체문화와 스포츠
1. 신체문화 이념의 구체적 적용
2. 네프기 신체문화 이념과 스포츠의 공존
3장 이미지로 본 스탈린 체제의 신체문화와 스포츠
1. 스포츠에 대한 인식 변화
2. 스탈린 체제 스포츠 문화의 ‘개인’ 이미지
3. 스탈린 체제 신체문화의 이념을 유지하기 위한 ‘집단’ 이미지
4. 대립적 이미지의 완화 - 지도자 이미지
4장 스탈린 체제의 스포츠 관람문화
1. 스포츠 관람문화의 생산주체 - 국가권력과 스포츠 스타
2. 스포츠 관람문화의 소비주체 - 관중
3. 스포츠 관람문화의 공간 - 스타디움
2부 올림픽 ‘열전’의 실제 - 소련의 올림픽 참가부터 개최까지
5장 소련의 1952년 하계 올림픽 참가
1. 소련의 국내 스포츠 제전
2. 소련의 올림픽 참가 - 내부의 선결과제
3. 소련 올림픽 참가를 반대하는 외부의 명분
6장 냉전기(1950~1975) 올림픽에서 미국과 소련의 이미지 경쟁
1. 미국언론에 투영된 소련 선수의 이미지
2. 자국 선수들의 우호적 이미지 조성을 위한 소련의 대응
7장 올림픽 속에서의 ‘열전’ - 우승 아니면 죽음을!
1. 우승확보를 위한 선수 양성 체제
2. 우승 아니면 죽음을! - 금지약물의 복용
8장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
1. 올림픽 유치전쟁의 1라운드
2. 올림픽 유치전쟁의 2라운드
3. 모스크바 올림픽 보이콧과 소련의 대응
에필로그
주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