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문화인류학자의 30년에 걸친 제주도 보고서. 제주 섬의 지질과 동식물 분포 같은 자연환경에서부터 신화와 역사, 사람들의 의식주를 비롯해 종교, 언어, 풍습, 상례·혼례·제례 등 자연과 사람이 어우러진 섬의 모든 것이 담겨 있다.
목차
머리말
제1부 제주도민족지(1935~37년 현재) 제1장 자연환경 제1절 지질 제2절 지형·수계·해류 제3절 기상 제4절 식물 및 동물 (가) 제주도의 식물 (나) 제주도의 동물 제5절 종합 제2장 촌락 연구 제1절 주민과 역사 (가) 개벽 신화와 ‘솟아나는 신(神)’ (나) 일본과의 관계 (다) 제주도인의 신체 형질 (라) 몽골 및 운남과의 관계 제2절 부락의 분포 상태와 그 성격 제3절 제주도 내의 성씨 제4절 촌락과 일터 제5절 교통 제6절 종합 제3장 가족 연구 제1절 세대인구와 가족성원 제2절 가족의 음식물 제3절 농업과 가족 (가) 농업과 그 기술 (나) 농업 노동의 형태 (다) 숯 굽기[製炭]와 사냥 제4절 목축과 가족 (가) 목축과 그 기술 (나) 목축 노동의 형태 제5절 어로와 가족 (가) 어업과 그 기술 (나) 어업 노동의 형태 (다) 나잠과 그 기술 (라) 나잠 노동의 형태 제6절 섬의 여성 (가) 가족 내의 분업과 여성의 지위 (나) 결혼과 출산 제7절 종합 제4장 초가족집단 연구 제1절 친족관계 (가) 식게[祖上祭] (나) 장례식 (다) 마을과 친족집단 제2절 품앗이와 계 (가) 수눌음(품앗이) (나) 계 및 기타 집단 (다) 기타 기능적 집단 제3절 말방애 집단 제4절 물을 중심으로 하는 생활 (가) 이용되는 물의 종류 (나) 용수를 중심으로 하는 집단 (다) 용수권과 말방애 집단 제5절 종합 제5장 제주도의 종교 제1절 섬의 성소(聖所) (가) 보편적 성소 (나) 개별적 성소 제2절 우도(牛島) 도네마을의 행사 (가) 정기 행사 (나) 임시 행사 제3절 종합 제6장 제주도 민구(民具) 제1절 의류 (가) 갈옷(감물옷) (나) 가죽옷 (다) 관모 (라) 우의 (마) 신발 제2절 식기 및 기타 생활용구 (가) 식기 (나) 구덕(대바구니) (다) 차롱(뚜껑 있는 대바구니) (라) 질그릇 제3절 농구 (가) 경작 농구 (나) 제초, 수확 용구 (다) 도정 용구 (라) 잡구 제4절 어구 (가) 어선 (나) 어망 (다) 낚시 도구 (라) 둠북 채집구 (마) 나잠 용구 제5절 가옥
제2부 도쿄에 있어서의 제주도인(1950년 현재) 1. 머리말 2. 도쿄 X지구 제주도인의 이주 경과 3. X지구 제주도인의 분포, 사회 결합 4. 가족 구조 5. 성씨와 이름 6. 남녀의 생활 7. 소비 생활 8. 교육·종교 생활 9. 성격-로르샤흐 테스트에 의한 분석
제3부 제주도에 있어서의 30년(1965년 현재) 1. 머리말 2. 경제 변동 3. 가족과 친족의 변동 4. 맺음말
역자의 말을 대신하여 주석 제주도 관계 문헌 목록
부록- 제주도 방언 어휘
서가브라우징
70가지 별난 물건으로 보는 세계문화 = Global culture in 70 unique objects2018 / 지음: 오문의 ; 구신자 / 에피스테메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