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선거운동의 블랙박스를 열어 이제까지 진행된 모든 온라인 선거운동을 과학적으로 평가하고 알리고자 한다. 특히 지난 20년간 총 15회(대선 4회, 총선 6회, 지방선거 5회) 국가선거의 온라인 선거운동을 유형화하고 체계적인 이론 적용을 통해 다각도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목차
서문
제1장 온라인 선거운동으로 민주주의가 바뀔 수 있을까 제1절 온라인 선거운동과 참여 이론 1. 온라인 정치참여는 왜 등장했는가 2. 왜 참여하는가 3. 어떤 기준으로 온라인 정치참여를 분석하는가 제2절 온라인 정치참여 유형 1. 정보제공형 참여 2. 대화형 참여 3. 결집형 참여 4. 의견제시형 참여 5. 기타 참여 유형
제2장 온라인 선거운동과 미디어의 전환 제1절 이론틀: 미디어 효과론 1. 변화 가설 2. 정상화 가설 제2절 미디어 선거운동 1. 미디어 이용환경과 특징 2. 후보자의 능동적인 정보제공 3. 정당의 정보제공 제3절 미디어 전환의 특징과 쟁점 1. 미디어별 특성 반영 2. 쌍방향성과 대화 활성화 3. 전략적 미디어 이용 4. 적극적 대응
제3장 온라인 선거운동과 행위자의 전환 제1절 이론틀: 네트워크론과 사회자본론 1. 네트워크론 2. 사회자본론 제2절 다양한 행위자의 온라인 선거운동 1. 네트워크 시민 2. 온라인 커뮤니티 3. 정치인 팬클럽 제3절 행위자 전환의 특징과 쟁점 1. 신뢰·평판의 위력과 집단 극화 2. 집단 지성 공중의 출현 3. 대안 결사체의 활성화
제4장 온라인 선거운동과 의제의 전환 제1절 이론틀: 역의제설정이론 1. 의제설정이론 2. 역의제설정이론 제2절 선거에서의 역의제설정 1. 정치 팟캐스트와 표현의 민주화 2. 동영상 의제 생산: 소셜 TV와 유튜브 3. 온라인 토론을 통한 의제 형성 4. 낙천낙선운동 5. 투표 독려와 인증샷 캠페인 제3절 의제 전환의 특징과 쟁점 1. 민주적 의제설정의 위력 2. 정치의 문화적 소비와 감성 정치
제5장 온라인 선거운동과 제도의 전환 제1절 미디어별 규제 1. 홈페이지와 이메일 규제(2000년) 2. 인터넷 언론 규제(2004년) 3. UCC와 정치광고 규제(2007년, 제17대 대선) 4. 문자메시지 규제 5. 온라인 여론조사 규제 6. 트위터 규제(2010년) 7. 온라인 선거운동 규제 완화 제2절 온라인 선거운동 규제의 특징과 쟁점 1. 목적, 대상, 범위, 기간, 내용 2. 개선 방향
제6장 결론: 온라인 선거운동과 민주주의의 전환
참고문헌
서가브라우징
(새내기 주권자를 위한) 투표의 지혜2020 / 지음: 손석춘 / 철수와영희
10대가 알아야 할 민주주의의 꽃, 선거2022 / 지음: 서지연 외 / 맘에드림
선거의 정석 : 아는 만큼 표로 돌려받는 101가지 기술2017 / 마크 팩, 에드워드 맥스필드 지음 ; 김혜영 옮김 / 사계절
개헌과 선거제도 개혁에 관한 모든 것2018 / 백상진, 김예찬 지음 / 루아크
세상을 바꾸는 선거제도2020 / 지음: 안용흔 / 오름
매니페스토, 신뢰가 권력이다2020 / 지음: 서인덕 / 책과나무
당선비책: 마케팅, 마케팅, 마케팅2022 / 지음: 예종석 / 나남
민주주의의 전환 : 온라인 선거운동의 이론·사례·제도2017 / 지음: 조희정 / 한국학술정보
바보 선거 : 데이터로 보는 한국 정치의 놀라운 진실2015 / 최광웅 지음 / 아카넷
소셜 미디어와 한국의 미디어 정치 = Social media and media politics in South Korea2016 / 탁진영 지음 / 계명대학교출판부
(10대와 통하는)선거로 읽는 한국 현대사2017 / 이임하 글 / 철수와영희
한국정치의 재편성과 2017년 대통령선거 분석 2019 / 편: 강원택, 박원호, 김석호 외 / 나남
코로나19 X 미국 대선, 그 이후의 세계2020 / 지음: 김준형 / 평단
선거는 어떻게 대중을 유혹하는가: 오늘의 미국을 만든 선거 민주주의의 진실2020 / 지음: 김지윤 / EBS Books:
왜 가난한 사람들은 부자를 위해 투표하는가 : 캔자스에서 도대체 무슨 일이 있었나2012 / 토마스 프랭크 지음 ; 김병순 옮김 / 갈라파고스
같이 빌린 책
당신은 전략가입니까 : 세계 0.1에게만 허락된 특권, 하버드경영대학원의 전설적 전략 강의2014 / 신시아 A. 몽고메리 지음 ; 이현주 옮김 / 리더스북
(10대와 통하는) 선거로 읽는 한국 현대사2017 / 지음: 이임하 / 철수와영희
전략의 신 : 당신이 쓸 수 있는 세상의 모든 전략2015 / 지음: 송병락 / 쌤앤파커스
소셜 미디어와 한국의 미디어 정치 = Social media and media politics in South Korea2016 / 지음: 탁진영 / 계명대학교 출판부
(10대를 위한) 선거 수업 : 미래를 바꾸는 정치 사용 설명서2018 / 지음: 승지홍 / 다른
고객처럼 생각하라 : 팔려고만 할 때는 결코 알 수 없는 세일즈의 비밀2008 / 제리 애커프, 윌리 우드 지음 ; 권구혁, 심태호 옮김 / 케이펍
공약파기 : 왜 우리의 민주주의는 매번 실패하는가2017 / 지음: 윤형중 / alma
보좌의 정치학 : 우리가 몰랐던 국회 보좌관의 모든 것2015 / 지음: 이진수 / 와선재
대한민국 선거이야기 = Korea Change : 1948 제헌선거에서 2007 대선까지2008 / 지음: 서중석 / 역사비평사
같은 주제의 책
바보 선거 : 데이터로 보는 한국 정치의 놀라운 진실2015 / 최광웅 지음 / 아카넷
다수결을 의심한다2016 / 지음: 사카이 도요타카, 옮김: 현선 / 사월의책
한국정치의 재편성과 2017년 대통령선거 분석 2019 / 편: 강원택, 박원호, 김석호 외 / 나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