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프롤로그
서론 키케로의 철학 세계
1. 키케로의 생애와 작품 세계
2. 키케로와 플라톤
3. 키케로와 헬레니즘 철학 시대
4. 키케로와 헬레니즘 철학 체계
5. 키케로의 철학적 공헌
6. 왜 다시 키케로인가
7. 책의 구성
1부 키케로의 정치철학
1장 이상국가와 법률: 『국가에 관하여』와 『법률에 관하여』
1. 키케로 정치철학의 위상
2. ‘로마인 플라톤’으로서의 키케로
3. 키케로의 『국가에 관하여』: 자유, 재산, 혼합정체를 중심으로
4. 키케로의 『법률에 관하여』: 자연법과 정의를 중심으로
5. 조화와 정의를 위한 정치철학
2장 수사학과 정치
1. 이상적 웅변가와 수사학
2. 철학과 수사학의 싸움: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키케로
3. 『웅변가에 관하여』에 나타난 수사학과 정치
4. 수사학과 보편교육
3장 이상적 정치가와 정치교육
1. 이상적 정치가 양성을 위한 교육
2. 정치교육과 수사학
3. 정치적 의무와 실천윤리학
4. 정의교육의 중요성
2부 헬레니즘 철학 체계의 토대: 논리학과 자연학
4장 논리학
1. 철학 여정의 시작
2. 『아카데미의 회의주의』에 나타난 헬레니즘 철학
3. 『루쿨루스』에 나타난 인식론: 구아카데미 대 신아카데미
4. 논리학의 위상 제고
5장 자연학: 에피쿠로스 신학과 스토아 신학에 관한 비판적 고찰
1. 헬레니즘 철학 시대의 신학
2. 『신들의 본성』의 배경과 구조
3. 자연학의 분야로서 우주론과 신학
4. 에피쿠로스 신학과 그 비판: 벨레이우스 대 코타
5. 스토아 신학과 그 비판: 발부스 대 코타
6. 종교교육을 통한 정치 개혁의 모색
3부 헬레니즘 철학 체계의 정점: 윤리학
6장 에피쿠로스 윤리학 비판
1. 최고선과 윤리학
2. 『최고선과 최고악』1~2권의 서론과 배경
3. 에피쿠로스의 철학 체계
4. 쾌락의 정의: 정적 쾌락과 동적 쾌락
5. 카르네아데스 윤리학설 분류법과 키케로의 윤리학설 분류법
6. 지혜·절제·용기·정의의 4주덕과 우정
7. 육체적 쾌락과 정신적 쾌락
8. 에피쿠로스 윤리학의 비일관성
7장 스토아 윤리학과 구아카데미학파의 윤리학 비판
1. 윤리학의 핵심 주제
2. 『최고선과 최고악』 3~5권의 배경
3. 스토아학파와 구아카데미학파의 철학 체계
4. 카르네아데스의 윤리학설 분류법
5. 인간 본성과 도덕발전론
6. 최고선과 행복
7. 최고선에 대한 판단: “나 홀로 자유롭다”
8장 행복의 철학과 영혼치료학으로서 철학
1. 행복한 삶과 철학
2. 『투스쿨룸』의 배경과 특색
3. 죽음과 고통에 대한 전통 철학의 처방
4. 영혼의 병의 치료사로서의 철학
5. 덕과 행복의 원천으로서의 철학
6. ‘영혼 돌봄’의 철학과 정치
에필로그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