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인간이 다른 인간을 죽일 때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에 대해 아주 사소한 부분까지 철저히 파헤친 독보적인 책이다. 퓰리처상 후보작에 오르기도 했던 이 책은 인간이 어떤 존재인지, 그리고 인간이 얼마만큼 선해질 수 있으며, 또한 얼마만큼 악해질 수 있는지 독자들에게 적나라하게 보여 준다.
목차
감사의 글
서문
1부 살해와 거부감의 존재 - 성행위를 연구하는 처녀들의 세계
1 싸우거나 도주하거나, 혹은 대치하거나 복종하거나
2 사격을 거부한 역사 속의 군인들
3 왜 죽이지 못하는가
4 거부감의 본질과 원천
2부 살해와 전투 트라우마 - 살해가 정신적 사상자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
1 정신적 사상자의 본질 : 전쟁의 심리적 대가
2 두려움의 지배
3 피로의 무게
4 죄책감과 공포의 진창
5 증오의 바람
6 의지의 우물
7 살해의 짐
8 장님들과 코끼리
3부 살해와 물리적 거리 - 당신도 멀리서는 친구로 보이지 않는다
1 거리: 죽음의 질적 차이
2 장거리 및 최장거리에서의 살해 : 참회하거나 후회할 필요가 없다
3 중거리 및 수류탄 투척 거리에서의 살해 : “누가 쏴서 맞혔는지 알 수 없다”
4 근거리에서의 살해 : “나는 상대를 내 손으로 죽이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을 알았다”
5 날무기를 사용한 살해 : “깊은 잔인성”
6 맨손을 이용한 살해
7 성적 거리의 살해 : “원시적 공격성과 감정의 분출, 그리고 오르가슴의 분비”
4부 살해의 해부 - 고려 대상이 되는 모든 요인들
1 권위자의 명령 : 밀그램과 군대
2 집단 면죄 : “살해자는 개인이 아니라 집단이다”
3 정서적 거리 : “내게 그들은 짐승만도 못한 존재였다”
4 피해자의 특성 : 타당성과 복수
5 살해자의 공격적 성향 : 복수하는 자와 조건 형성, 그리고 살인을 좋아하는 2퍼센트
6 고려 대상이 되는 모든 요인들 : 죽음의 산술
5부 살해와 잔학 행위 - “그곳에는 영예도, 미덕도 없었다”
1 잔학 행위의 전반적 스펙트럼
2 잔학 행위의 어두운 힘
3 잔학 행위의 함정
4 잔학 행위의 사례연구
5 거대한 덫
6부 살해 반응 단계 - 살해할 때 어떤 감정을 느끼게 되는가?
1 살해 반응 단계
2 모델의 적용 : 살해자의 자살, 낙선, 그리고 미쳤다는 생각
7부 베트남에서의 살해 - 우리는 군인들에게 무슨 짓을 저질렀는가?
1 베트남에서의 둔감화와 조건 형성
2 우리는 군인들에게 무슨 짓을 저질렀는가? : 살해의 합리화와 베트남에서 합리화에 실패한 이유
3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와 베트남에서 살해한 대가
4 인내심의 한계와 베트남의 교훈
8부 미국에서의 살해 - 우리는 아이들에게 무슨 짓을 저지르고 있는가?
1 폭력 바이러스
2 영화를 통한 둔감화와 파블로프의 개
3 스키너의 쥐와 오락실의 조작적 조건 형성
4 미디어에서 이루어지는 사회적 학습과 역할 모델들
5 감성의 회복을 위하여
주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