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프랑스의 노동 문제를 연구하는 손영우 서울시립대 EU센터 연구위원이 지난 20년 동안 프랑스의 사회적 대화에 관해서 보고, 듣고, 읽고, 느낀 것을 정리한 결과물이다.
목차
머리말
서론
1부 비코포라티즘적 다원적 이익 대표 체계의 형성 1장 혁명 의회는 왜 결사의 자유를 박탈했나 ― 프랑스 혁명이 프랑스의 산업 관계에 미친 영향 2장 프랑스 노사 단체의 탄생과 노사 체계의 형성 3장 프랑스는 왜 단체협약 적용률이 높은가 4장 노사 단체의 대표성 제도와 복수 노조 제도
2부 사회적 대화 제도의 발전 ― 협의, 자문, 사법, 복지, 교육 1장 노동이사, 노사 협의 기구, 노조 전임자 2장 경제사회환경위원회와 협치 3장 노사 분쟁과 노동법원 4장 공공복지의 제도화와 사회적 대화 ― 실업급여 제도의 운영 5장 공공 부문의 사회적 대화 구조와 교원 노사 관계
3부 21세기 사회적 대화의 증진 ― 새로운 모델로 진입하기? 1장 사회당 정부의 ‘사회대토론회’ 2장 노동개혁법과 사회적 대화
결론
부록 1 프랑스의 사회적 대화 관련 연표(1791년 이후) 부록 2 르 샤플리에 법(1791년 6월 14일 법) 부록 3 발덱-루소 법(1884년 3월 21일) 부록 4 아미앵 헌장(제9차 CGT 대표자대회, 1906년 10월 8~13일)
논문 출처 약어표 참고 문헌 주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더 많이 공부하면 더 많이 벌게 될까2013 / 필립 브라운, 휴 로더, 데이비드 애쉬턴 지음 ; 이혜진, 정유진 옮김 / 개마고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