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도서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활동사진이 유입되고 1892년 인천에 우리나라 최초의 극장 인부좌(仁富座)가 설립된 시기부터 제2차 세계대전이 종전되는 1945년에 이르기까지, 한국영화의 주요 장면과 사건, 인물, 영화운동, 영화이론, 작품, 관련 기록을 포괄적.종합적으로 기술한 책이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책을 내면서

1부 1892-1925 영화 유입과 영화산업의 형성 / 한상언
1 영화 유입과 극장 설립
극장과 흥행업의 탄생
활동사진 유입
언어와 문화 차로 이원화된 서울의 극장
2 영화산업의 형성
활동사진 상설관 등장
닛다 연예부와 하야카와 연예부
우미관과 단성사
활동사진시대의 꽃, 변사
3 연쇄극과 영화 제작의 시작
연쇄극 유입과 제작
일본인 상설관의 극영화 제작
조선총독부의 영화 활동
경성일보사의 영화 제작
4 극영화의 시대
극동영화구락부의 〈국경〉
동아문화협회와 단성사 촬영부
조선키네마주식회사
백남프로덕션과 계림영화협회
영화 검열

2부 1925-1935 영화, 영화인, 영화운동 / 이효인
1 1920년대 중반, 조선영화 장場의 각축
근대영화의 출발, 유랑하는 이경손·변사 감독 김영환
근대영화사의 절반, 나운규
〈아리랑〉, 통속성과 외래성 그리고 민족성
심훈과 ‘먼동이 틀 때’
대중문화 시장의 각축, 라디오 매체의 등장과 경성방송국
영화를 찬양하는 모임, 찬영회
2 조선영화의 새로운 시도
조선영화예술협회
신흥영화예술가동맹의 결성과 해체
근대영화의 시도, 카프KAPF영화
주인규 그룹과 적색노조영화
카프 검거사건
3 1930년대 초반, 조선영화 장場의 변화
근대영화의 대중성, 최독견·윤봉·이규환·안종화
경향영화에서 대중영화로

3부 1935-1945 발성영화시기에서 전시체제까지 / 정종화
1 발성영화라는 모색
토키의 시도(들)
경성촬영소의 협업協業 시스템
조선 영화인의 분투, 한양영화사
일본영화 촬영소 유학파
무성에서 발성까지, 조선영화의 스타일
2 조선영화 제작 지형의 변화
‘영화 통제’라는 역설적 기회
조선 영화계의 활기, ‘조영’과 ‘고영’
〈나그네/다비지〉 그리고 일본영화와의 합작 경향
조선영화의 이출移出과 ‘내지’ 일본의 수용
3 조선영화의 전시체제
조선영화령과 영화신체제
1940년대 초반 경성 흥행계
조선영화와 내선일체內鮮一體
문화영화 : ‘조선문화영화협회’와 ‘조선영화계발협회’
최인규의 〈수업료〉와 〈집 없는 천사〉가 말해주는 것들
4 국책영화라는 장場
조선영화의 마지막 모색
‘조선영화’라는 특수성
식민지 영화 국책의 산실, 조선영화제작주식회사
임화의 ‘조선영화론’

미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계획이 다 있었던 남자, 봉준호 계획이 다 있었던 남자, 봉준호 2020 / 지음: 이형석 / 북오션
계획이 다 있었던 남자, 봉준호 계획이 다 있었던 남자, 봉준호 2020 / 지음: 이형석 / 북오션
다문화주의와 영화  : 영화로 보는 다른 세상 다문화주의와 영화 : 영화로 보는 다른 세상 2018 / 지음: 이형식 / 앨피
다문화주의와 영화  : 영화로 보는 다른 세상 다문화주의와 영화 : 영화로 보는 다른 세상 2018 / 지음: 이형식 / 앨피
K콘텐츠 코드 : 10개의 코드로 읽는 대한민국 콘텐츠의 흐름 K콘텐츠 코드 : 10개의 코드로 읽는 대한민국 콘텐츠의 흐름 2023 / 지음: 이현경, 정민아, 이용철 / 미다스북스
소리의 정치  : 식민지 조선의 극장과 제국의 관객 소리의 정치 : 식민지 조선의 극장과 제국의 관객 2016 / 지음:이화진 / 현실문화
한국 근대영화의 기원 = (The) orgin of korean film 한국 근대영화의 기원 = (The) orgin of korean film 2017 / 지은이: 이효인 / 박이정
한국근대영화사  : 1892년에서 1945년까지 한국근대영화사 : 1892년에서 1945년까지 2019 / 지음: 이효인 ; 정종화 ; 한상언 / 돌베개
한국영화를 위함 한국영화를 위함 1999 / 장세진 지음 / 신아출판사
북한 영화 속의 삶 이야기 북한 영화 속의 삶 이야기 2006 / 전영선 / 글누림
필사의 탐독  : 정성일의 한국영화 비평활극 필사의 탐독 : 정성일의 한국영화 비평활극 2010 / 지은이: 정성일 / 바다출판사
영상기술의 미래와 R&D 전략 영상기술의 미래와 R&D 전략 2010 / [정재용 외 지음] / 영화진흥위원회
(저널리스트 정중현의)우리영화살리기 (저널리스트 정중현의)우리영화살리기 1999 / 정중헌 저 / 늘봄
(The) man of action  : 내 영화 인생은 아직 치열하다 (The) man of action : 내 영화 인생은 아직 치열하다 2015 / 지은이: 정창화 / 삶과지식
조선영화와 할리우드  = Chosun cinema and Hollywood 조선영화와 할리우드 = Chosun cinema and Hollywood 2014 / 백문임 ; 유선영 ; 김상민 ; 박선영 ; 이화진 ; 유승진 ; 구인모 ; 전우형 ; 심혜경 저 ; 연구모임 시네마바벨 편 / 소명출판

같이 빌린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조선영화의 탄생 조선영화의 탄생 2018 / 지음: 한상언 / 박이정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스탠리 큐브릭 : 장르의 재발명 스탠리 큐브릭 : 장르의 재발명 2014 / 진 D. 필립스 엮음 ; 윤철희 옮김 / 마음산책
스페인 영화 : 작가주의 전통과 국가 정체성의 재현 스페인 영화 : 작가주의 전통과 국가 정체성의 재현 2014 / 임호준 지음 / 문학과지성사
식민적 근대성과 한국영화 = Colonial Modernity and Korean Cinema : 조선영화와 충무로 영화의 역사적 문화 상상 식민적 근대성과 한국영화 = Colonial Modernity and Korean Cinema : 조선영화와 충무로 영화의 역사적 문화 상상 2013 / 주창규 지음 / 소명
이동진의 부메랑 인터뷰 그 영화의 시간 = Boomerang Interview 이동진의 부메랑 인터뷰 그 영화의 시간 = Boomerang Interview 2014 / 지음: 이동진 / 예담
영화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꼭 알아야 할 70가지 : 〈씨네21〉주성철 기자의 영화강상법 영화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꼭 알아야 할 70가지 : 〈씨네21〉주성철 기자의 영화강상법 2014 / 주성철 지음 / 소울메이트
지중해의 영화 지중해의 영화 2014 / 박은지 지음 / 산지니
그 영화 같이 볼래요 : 영화가 끝나고 시작된 진짜 영화 이야기, 시네마톡 그 영화 같이 볼래요 : 영화가 끝나고 시작된 진짜 영화 이야기, 시네마톡 2013 / 김영진 외 지음 ; 조인철 엮음 / 씨네21북스
탐욕과 생존 : 영화, 분쟁을 말하다 탐욕과 생존 : 영화, 분쟁을 말하다 2012 / 김용성 지음 / 책으로보는세상
조선영화의 탄생 조선영화의 탄생 2018 / 지음: 한상언 / 박이정
무비유환 : 영화에는 인생의 기쁨이 있다 무비유환 : 영화에는 인생의 기쁨이 있다 2017 / 지음: 이재익, 이승훈, 김훈종 / 박하
처음 만나는 영화: 내 영혼을 울린 문학텍스트로서의 영화 처음 만나는 영화: 내 영혼을 울린 문학텍스트로서의 영화 2017 / 지음: 김성곤 / RHK
길에서 어렴풋이 꿈을 꾸다 : 이동진의 영화풍경 길에서 어렴풋이 꿈을 꾸다 : 이동진의 영화풍경 2010 / 이동진 글·사진 / 예담
소리의 정치  : 식민지 조선의 극장과 제국의 관객 소리의 정치 : 식민지 조선의 극장과 제국의 관객 2016 / 지음:이화진 / 현실문화
장면으로 직접 보는 위대한 영화의 편집 문법 장면으로 직접 보는 위대한 영화의 편집 문법 2013 / 지음: 게일 챈들러 ; 옮김: 민경원 / 커뮤니케이션북스
구로사와 아키라 자서전 비슷한 것 구로사와 아키라 자서전 비슷한 것 2014 / 지음: 구로사와 아키라 ; 옮김: 김경남 / 모비딕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0
30대0
40대0
50대0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0
2017년0
2018년0
2019년0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