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머리말
제1장 장태의 기원과 조선왕실의 안태제도
제1절 장태의 기원과 조선왕실의 출산제도
1. 장태(藏胎)의 기원과 외국의 장태풍속
2. 조선왕실의 출산제도
제2절 조선왕실의 안태(安胎)제도
1. 태봉(胎峰)의 입지 선정조건과 봉안(奉安)절차
2. 태실(胎室)의 구조 및 관리
제2장 태봉의 풍수적 특성 분석이론
제1절 용세(龍勢) 분석이론
제2절 국세(局勢) 분석이론
1. 현무(玄武, 主山)
2. 청룡(靑龍)
3. 백호(白虎)
4. 주작(朱雀, 案山)
제3절 수세(水勢) 분석이론
제4절 혈장세(穴場勢) 분석이론
1. 입수두뇌(入首頭腦)
2. 청룡·백호선익(靑龍·白虎蟬翼)
3. 전순(氈脣)
4. 좌향(坐向)과 혈형(穴形)
5. 기타
제3장 조선 국왕태봉의 실태와 풍수적 분석
제1절 조선 국왕의 계보와 태봉의 실태
1. 조선 국왕의 왕위계승과 계보
2. 조선 국왕태봉의 실태
제2절 조선전기 국왕태봉의 풍수적 분석
1. 산중돌혈 형태의 국왕태봉 분석
2. 평지돌혈 형태의 국왕태봉 분석
제3절 조선후기 국왕태봉의 풍수적 분석
1. 산중돌혈 형태의 국왕태봉 분석
2. 평지돌혈 형태의 국왕태봉 분석
제4장 조선 국왕태봉의 풍수적 특성 분석
제1절 조선 국왕태봉의 풍수적 특성 분석
1. 지리적 위치와 시·공간적 특성 분석
2. 용세, 국세, 수세의 특성 분석
3. 혈장세의 특성 분석과 태봉의 등급 분류
제2절 조선 국왕태봉의 비교 분석
1. 산중돌혈과 평지돌혈의 비교 분석
2. 국왕태봉과 왕릉의 비교 분석
제3절 조선 국왕태봉의 풍수적 종합 분석
1. 지리적 위치와 풍수적 특성 분석
2. 국왕태봉의 비교 분석
제5장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