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 근대소설 연구방법 이론의 역사와 실제 = The history and practice of research methodology on the Korean modern novel
발행연도 - 2018 / 지음: 양문규 / 소명출판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2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437895
-
ISBN
9791159052750
-
형태
528 p. 24 cm
-
한국십진분류
문학
>
한국문학
>
소설
-
카테고리분류
에세이/시/희곡
>
한국문학
>
한국문학의 이해
책소개
연세근대한국학총서 127권. 기존의 비평사 연구와 달리 한국의 근대소설 텍스트를 연구하면서 단편적이거나 주관적 또는 인상적 비평의 방식이 아니라, 이론적으로 새롭게 개발된 특정 연구방법 또는 학문적 방법론에 기초했던 논의들을 역사적 방식으로 정리하고 있다.
목차
머리글
시작하며 ‘구체적 총체성’으로서의 소설연구방법론의 역사
제1부 근대소설 연구방법 이론의 역사
제1장 초기 마르크스주의 연구-1930년대 후반
‘구체적 총체성’으로서의 소설사론-임화
‘전형론’과 사회ㆍ윤리적 방법-김남천과 이원조
제2장 실증ㆍ비교문학과 형식주의 연구의 출발-1950년대
실증ㆍ비교문학적 연구-역사성의 퇴각
형식주의적 연구-탈이념 지향
제3장 사회·윤리(이데올로기) 연구의 출발-1960년대
사회·윤리적 연구의 강조
초기 리얼리즘론
제4장 리얼리즘론 대 구조주의·심리학적·신화 연구-1970년대
리얼리즘론과 민족문학론의 결합
구조주의·심리학적·신화 연구
제5장 마르크스주의·북한문예학과 문학텍스트사회학 연구-1980년대
마르크스주의 연구의 부활
북한 문예학과 문학사 논의
문학텍스트사회학의 수용과 한계
제6장 문화·페미니즘 연구의 출발-1990년대
문화연구의 유형과 적용 사례
페미니즘 연구
제7장 탈구조주의·탈식민주의 연구와 최근의 논의-2000년대 이후
탈구조주의론의 대두
탈식민주의 이론의 수용과 비판적 극복
최근의 논의-문학·정치·윤리
제2부 근대소설 연구의 실제
제1장 임화에 의해 시작된 과학적 방법론-이인직 연구방법론의 역사
임화의 문예 사회학적 방법론-해방 전
실증적 방식의 검토-1950~60년대
민족문학론의 방법-1970~80년대
최근의 새로운 방법론들
제2장 ‘신소설’의 새로운 구도 짜기-이해조 연구방법론의 역사
임화의 방법론-이인직과의 비교를 통한 이원론의 방식
실증과 역사전기의 방법론
사회 이데올로기적 방법론
형식·문화 연구방법
제3장 ‘친일문학’의 논리에 대한 다양한 접근-이광수 연구방법론의 역사
김동인과 임화의 대비적 논의-해방 전
사회·윤리적 비판-해방 이후~1960년대
역사·전기적 연구의 심화-1970~80년대
방법론의 다각화-1990년대 이후
제4장 문학사의 인습적 평가에 대한 반성-김동인 연구방법론의 역사
형식주의적 연구-해방 후~1950년대
사회·윤리적 비평-1960~70년대
다양한 관점에 선 비판적 연구-2000년대 이후
제5장 ‘기교’와 ‘현실비판’으로서의 사실주의-현진건 연구방법론의 역사
민족·사회의식 관점과 전기적 연구의 방법론
형식·구조주의적 연구
최근 몇몇의 연구방식들
제6장 근대성·리얼리즘·민족문학 연구로의 도정-염상섭 연구방법론의 역사
초창기의 논의-해방 전~1950년대
리얼리즘론을 통한 재인식-1960~70년대
리얼리즘론의 계승 및 연구 지평의 확대-1980~90년대
그 밖의 연구 방식과 탈식민주의-2000년대 이후
제7장 만주체험과 낭만성의 재인식-최서해 연구방법론의 역사
임화와 북한학계의 논의-식민지 시기~1950ㆍ60년대
간도의 발견과 사회이데올로기 연구-1970년대
임화 논의의 계승과 변용-1980~90년대
마르크스주의 논의 이후
제8장 ‘근대민족문학’적 도정 안에서의 재평가-한설야 연구방법론의 역사
식민지 시기의 논의
마르크스주의적 해석-1980년대 해금 이후
근대민족문학으로서의 재해석
문제와 가능성-최근의 논의들
제9장 G. 루카치의 연구방법론-이기영 연구방법론의 역사
마르크스주의의 비평적 논의-식민지 시기
루카치의 방법론을 통한 분석-1980년대
북한소설로의 연구 확대
탈식민주의와 페미니즘의 관점
제10장 리얼리즘 너머 민중문학으로서의 발견-김유정 연구방법론의 역사
사회성과 민중성의 발견-1970년대 이후~1990년대
문화연구와 탈식민주의 방식의 접근-2000년대 이후
제11장 페미니즘과 탈식민주의 관점에서의 재인식-이효석 연구방법론의 역사
초기의 평가-식민지 시기와 해방 직후
사회·윤리적 관점의 연구-1970년대
신화 또는 작가심리학의 관점의 연구-1980~90년대
페미니즘 관점의 연구
탈식민주의 관점의 연구
제12장 물화된 인간관계의 비판-이상 연구방법론의 역사
리얼리즘과 모더니즘론의 구도-식민지 시기
사회·윤리적 비평-1960~70년대
심리학적·전기적 방법론-1970~80년대
마르크스주의와 문화연구의 방법론-1990년대 이후
제13장 문학텍스트사회학적 접근-박태원 연구방법론의 역사
모더니즘과 리얼리즘-식민지 시기의 평가
사회이데올로기 방식의 연구-해금 이후
문학텍스트사회학과 담론 형식의 연구
문화연구
제14장 탈식민주의 관점에서의 재인식-이태준 연구방법론의 역사
초기의 평가
북한의 비판-1950년대
역사전기 방식의 연구
탈식민주의 연구
그 밖의 연구방식의 논의
제15장 사회주의·페미니즘·탈식민주의-채만식 연구방법론의 역사
초기의 평가
리얼리즘과 사회이데올로기 연구
문체 및 문학텍스트사회학, 비교문학 연구
페미니즘과 탈식민주의 연구
제16장 페미니즘 이론의 다양한 양상-강경애 연구방법론의 역사
역사전기·사회이데올로기 연구
페미니즘 또는 욕망의 역사유물론 방식
문화연구와 탈식민주의 연구 방식
나가며 한국 근대소설 연구방법론의 도정
참고문헌
부록
간행사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