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정책사의 관점에서 조선왕조의 빈곤정책의 내용을 같은 시기의 중국, 일본과의 비교적 관점에서 기술하고 그 특징을 논의했다. 조선왕조의 빈곤정책을 조선왕조실록 등의 일차문헌에 근거하여 그 내용을 가능한 한 자세하게 분석했다.
목차
서문
제1부 조선왕조 빈곤정책에의 어프로치 제1장 동아시아 역사비교연구의 방법과 관점 1.동아시아 비교의 관점 2. 미시사적 관점 및 사료 제2장 동아시아 비교사회정책사의 관점에서 본 조선왕조시스템: 한국사회정책의 역사문화적 유산 1. 동아시아의 국제질서와 조선 2. 통치구조와 정책기조 3. 주자학 교조주의와 사회문화 4. 인구 및 생활수준의 변동
제2부 조선왕조 빈곤정책의 내용과 특징 제3장 빈곤의 규모와 구빈제도의 개관 1. 기근의 발생과 그 규모 2. 복지제도의 개략 3. 동아시아의 창제도 4. 조선의 창제도 개관 제4장 예방적 빈곤정책: 환곡제도를 중심으로 1. 창제도 운영의 기본 조건 2. 환곡의 운영구조 3. 환곡에 대한 세 가지의 입장 4.조선의 창제도에는 왜 물가조절 기능이 없었는가? 5. 환곡제도의 특수성: 중국 창제도와의 비교 6. 환곡의 구휼적 성격과 귀결 제5장 사후적 빈곤정책: 진휼정책 1. 진휼정책의 전개 2. 국왕의 대응: 덕치와 책기 3. 진휼정책의 법적 근거와 구빈기구 4. 구휼정책의 내용 5. 구빈정책의 재원 6. 진휼정책의 현장: 한중일의 사례
제6장 빈곤아동보호정책 1. 기아 걸식아동의 발생과 아동보호 2. 『자휼전칙』의 시행 3. 빈곤아동보호와 관련된 몇 가지 사회정책적 논의
제3부 비교사회정책사적 질문과 사회정책사의 사례연구 제7장 대규모의 창제도는 빈곤관에 어떤 영향을 남겼는가 1. 극히 큰 규모의 창제도 2. 환곡규모 확대의 메커니즘 3. 민중의 빈곤관에의 영향 제8장 가족주의의 역사적 기원 1. 가족주의의 개념: 그 반대개념으로부터의 접근 2. 전통적 가족형태의 형성 3. 가족책임으로서의 가족주의 4. 가족단위 대처방식으로서의 가족주의와 여성의 지위 5. 차별주의로서의 가족주의-서얼 차별 종장 요약과 결론, 그리고 몇 가지 생각해 볼 문제 1. 요약과 결론: 조선왕조 빈곤정책의 특징 2. 현대사회정책과 관련된 몇 가지 논점들
참고문헌 찾아보기 감사의 글 지은이 소개
서가브라우징
한국의 노숙인 : 그 삶을 이해한다는 것2013 / 구인회, 정근식, 신명호 공저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한국의 노숙인 : 그 삶을 이해한다는 것2013 / 구인회, 정근식, 신명호 공저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