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CH 트랜스내셔널인문학총서 19권. 경성제국대학의 초대 총장으로 취임한 ‘동양철학자’ 핫토리 우노키치는 1926년 4월 경성제국대학 시업식에서 식민지 ‘제국대학’의 출발을 알리는 유명한 연설을 하였다.
목차
책머리에
1부_ ‘제국대학’과 동아시아 한국 근대 고등교육의 기원과 ‘식민지대학 체제’의 형성 / 윤해동 Ⅰ. 머리말 Ⅱ. 식민지대학의 두 기원 Ⅲ. 제국대학의 이식과 굴절 : 식민지대학 체제의 형성 Ⅳ. ‘대안적 고등교육’의 활성화 Ⅵ. 맺음말 육당 최남선의 만주행과 만주국 ‘건국대학’의 실험 / 정준영 Ⅰ. 들어가며 : 만주국의 육당 Ⅱ. 건국대학의 설립과 민족협화의 신화 Ⅲ. 건국대학이라는 실험의 겉과 속 Ⅳ. 나가며 : 육당과 만주건국대
2부_ 동양학으로서의 철학과 문학 다이쇼 교양주의와 경성제국대학 ‘철학, 철학사 제1’강좌: 아베 요시시게(安倍能成)를 중심으로 / 허지향 Ⅰ. 들어가며 Ⅱ. 생애와 특정 부분의 소극적인 기술 Ⅲ. 아베의 학문적 배경과 연구 성과 : 경성제대 부임 이전까지 Ⅳ. ‘인생철학’으로 식민지 조선 살아가기 Ⅴ. 끝맺기 김태준 초기이력의 재구성과 ‘조선학’의 새로운 맥락들 / 이용범 Ⅰ. 서론 Ⅱ. 경성제대 재학기(在學期)와 두 번째 북경행 Ⅲ. 동아시아 근대학술 교류의 일지맥(一支脈) Ⅳ. 조선어문학회와 경성제대 지나문학과의 중첩 Ⅴ. ‘조선학’의 기저로서 민족의식 Ⅵ. 결론
3부_ 조선사 연구와 동양학 식민지기 일본인 연구자들의 한국사에 대한 통사적 접근: 쓰에마스, 이나바, 나카무라의 시도를 중심으로 / 정상우 Ⅰ. 서언 Ⅱ. 대륙 침략과 새로운 조망의 필요 : 역사의 정리 Ⅲ. 식민주의 역사학의 상수 : 종속과 혼란의 역사 Ⅳ. 새로운 양상들 : 정체를 보여주는 새로운 소재들과 동북아시아에 대한 조망 Ⅴ. 결어 쓰에마스 야스카즈(末松保和, 1904~1992)의 학술사와 식민주의 역사학: 그 반사경인 한국사 학계에서의 엇박자의 원인을 찾아서 / 신주백 Ⅰ. 문제제기 : 식민주의 역사학을 보는 눈과 태도 Ⅱ. 식민지 조선, 식민주의 역사학의 최전선에서 Ⅲ. 전후 일본에서 더욱 확장된 연구와 내재된 제국의식 Ⅳ. 식민주의 역사학을 바라보는 두 측면 : 실증, 존재와 태도
4부_ 법학 연구와 경성제대 식민지 조선에서 법학의 위상과 경성제국대학 / 장신 Ⅰ. 머리말 Ⅱ. 전문학교에서 법학교육의 목표와 실상 Ⅲ. 고등시험과 법학 교육 Ⅳ. 법학 연구의 두 축 Ⅴ. 맺음말 통제경제 속의 주식회사법: 경성제대 니시하라 간이치의 상법학이 처한 딜레마 / 조정우 Ⅰ. 들어가며 : 식민지의 상법-회사법 Ⅱ. 이법지역(異法地域)으로서의 식민지 Ⅲ. 경성제국대학의 상법 강좌와 회사법 Ⅳ. 자유주의 상법 이론의 체계화 : 주식회사의 법적 규제 문제 Ⅴ. 국가와 시장의 교착 : 통제경제의 발흥과 주식회사법 Ⅵ. 나오며 : 감춰진 식민지 경험과 송환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마르크 블로크 : 역사가 된 역사가2008 / 올리비에 뒤몰랭 지음 ; 류재화 옮김 / 에코리브르
역사를 바꾼 운명적 만남 : 한국편. [1]2010 / 함규진 지음 / 미래M&B
역사를 바꾼 운명적 만남 : 세계편. [2]2010 / 에드윈 무어 지음 ; 차미례 옮김 / 미래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