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심영의의 <소설에 대하여>. 1부 '소설의 이론', 2부 '소설의 분석', 3부 '소설의 창작', 4부 '시에 대하여', 5부 '동화와 수필에 대하여'로 구성되었다.
목차
들어가는 글
제1부 소설의 이론
1. 소설이란 무엇인가
2. 나는 왜 소설을 쓰려고 하는가?
3. 쓰고 싶은 이야기와 듣고 싶은 이야기
4. 서술 시점의 문제
5. 인물의 성격 만들기
6. 소설의 구조-이야기와 사건의 배치
7. 도입부에서 필요한 것들
8. 소설의 전개와 결말
9. 소설(창작)의 요소들
10. 소설의 주제와 작가의 태도
제2부 소설의 분석
1. 이기호 소설[최미진은 어디로]와 소설가 소설
2. 안보윤 소설[때로는 아무것도]의 서술자
3. 권여선 소설[재]와 소설 쓰기
4. 김금희 소설[체스의 모든 것]과 알레고리
5. 김애란 소설[건너 편]에서 인물들의 관계
6. 정찬 소설[등불]의 주제 구현 방식
7. 조해진 소설[산책자의 행복]과[빛의 호위]
8. 최은미 소설[울고 간다]와[창 너머 겨울]에서 서술자의 위치
9. 황정은 소설[누구도 가본 적 없는]의 주제
10. 황정은 단편[누가]의 인물 구성
11. 윤이형 소설[이웃의 선한 사람]의 작가 의식
12. 김금희 소설[너무 한낮의 연애]와 소설적 진실
제3부 소설의 창작
1. [형에게]의 창작기법에 관하여
2. [목어(木魚)가 되다]에서 구원의 문제
3. [개그맨], 지난 시절의 이야기를 새롭게 하기
4. [아버지가 맞았어요]와 삶의 진실
5. 가족제도와 입양 이야기의 핍진성에 관하여
6. 단편[자연을 품은]과 소설에서 시점의 문제
7. [호러 사파리]와 공포의 상업화
8. [집으로 가는 길]과 용서의 문제
9. [꺼지지 않는 불꽃]과 ‘프레카리아트’의 운명
10. [자전거]
11. [오월의 신부]
12. [남겨진 시간들]과 강원일보 신춘[열린 문]
13. [블랙스완]과 청소년의 자아 찾기
14. 단편[이도]와 [박명(薄明)]에서 인물을 바라보는 작가의 태도
15. [여자가 집을 나설 때]의 서사 구조
16. [달빛 산행]과 [이장]
17. 어쨌든 말해야 한다면
18. [너와 나의 숨은 꽃]과 관념이라는 허상
19. [그림자]에서 벗어나기 혹은 함께 하기
20. [잊지 마, 진이야]
21. [지금 당신 곁에 누가 살고 있나요]와 [프레스]
22. [악어]와 [등고선, 꽃이 되다]의 소설적 진실
제4부 시에 대하여
1. 시의 본질
2. 시와 사회
제5부 동화와 수필에 대하여
1. 동화란 무엇인가
2. 수필이란 무엇인가
ㆍ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