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문화의 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는 음악, 영화, TV 프로그램, 소설, 옷 등을 소비하면서 일상 속에서 상징 행위를 시작한다. 대중은 상업적으로 생산된 문화 상품을 시장을 통해서 소비하면서 스스로의 욕구를 드러낼 수 있게 되었고 대중은 이렇게 처음으로 문화 생산·소비의 주체가 되었다.
목차
책머리에
1. 대중문화, 유물론적 미학, 문화적 민주화 - 들어가며 1. 1. 일상적 삶의 상징적 생산과 유물론적 미학 1. 2. 대중문화,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
2. 유물론적 미학의 재구성 2. 1. 마르크스와 “감각의 해방” | 유물론적 미학의 토대 2. 2. 심미적 경험과 시민적 이상 | 쉴러와 심미적 인문주의 2. 3. 생활예술과 유물론적 미학 | 윌리엄 모리스 2. 4. 생체 미학과 경험으로서의 예술 | 존 듀이 2. 5. “문화는 일상적이다” | 레이몬드 윌리엄스 2. 6. 대중문화 소비와 미디어 시장 | 폴 윌리스 2. 7. 유물론적 미학과 대중문화 분석 [보론] 그람시의 귀환 | 문화유물론과 서사의 물질성
3. 대중 미디어 시대의 리얼리즘 3. 1. 대중 미디어 시장의 해방적 잠재력 I | 하버마스 3. 2. 대중 미디어 시장과 리얼리즘 소설의 발생 3. 3. 대중 미디어 시장의 해방적 잠재력 II | 발터 벤야민 3. 4. 서사의 대중성 | TV 드라마와 감성구조 3. 5. 칙릿과 대중적 페미니즘 3. 6. 현실 참여 미디어 힘 | 마이클 무어
4. 대중과 문화적 민주화 - 나가며 4. 1. 시장사회의 징후들 | 의식과 욕망의 교환가치화 그리고 재현의 위기 4. 2. 포스트민주주의와 시민적 능력 4. 3. 미디어 리터러시 | 대중에서 시민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