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과 개신교를 아우르는 기독교 2000년 역사 가운데 인류에게 저지른 잔악한 범죄상을 다룬 책. 타락한 성직자들에 의해 자행된 살육과 학살의 침략사를 살핀다. 막강한 권력을 형성한 기독교라는 종교가 인류의 인권을 짓밟은 인권 유린의 생생한 현장을 통시적인 관점에서 점검한다.
목차
추천의 글 서문 중요한 연대표
제1장. 교회의 존재는 사회에 도움이 되는가? I. 성직자들의 장사하는 집으로 전락하는 교회 II. 교회는 죄인을 만드는 곳인가? III. ‘통성기도’ 시간은 위선과 기만의 연습시간인가? IV. 원죄(原罪)는 있는가? VII. 십일조와 공갈협박 VI. 교회는 신도들을 보이지 않는 쇠사슬로 묶어 구속하는 곳인가? VII. 신앙은 생활화 되었는가? VIII. 타락한 성직자들
제2장. 기독교 세계 선교는 성령의 역사인가, 사탄의 역사인가? I. 기독교는 선교지의 전통 문화와 고유 종교의 말살을 중지하라 - 기독교만이 사랑과 구원을 줄 수 있는 유일한 종교인가? - II. 기독교 선교는 선교지 주민들에게 행복을 가져다 주었는가, 불행을 가져다 주었는가? III. 기독교 세계 선교의 전망
제3장. 콜럼버스(Christopher Columbus)는 성자였는가, 악마였는가? I. 콜럼버스와 스페인 왕실의 후원 II. 콜럼버스 아메리카 도착 III. 콜럼버스는 성자였는가? IV. 콜럼버스는 악마였는가? V. 콜럼버스의 죄악상
제4장. 십자군은 하나님의 군대였는가? I. 십자군의 작전경로 II. 십자군의 죄악상 III. 십자군이 인류사에 남긴 교훈
제5장. 로마 천주교의 존재는 인류 사회에 도움이 되었는가? 서론 I. 면죄부(免罪符, Indulgence)는 유효했는가? II. 천주교는 개신교나 타종교와 공존공영할 수 있는가? III. 교황은 진정 베드로의 계승자인가? IV. 역대 교황 명단 V. 교황무류설(敎皇無謬設, Papal Infallibility) VI. 천주교와 유대인들과의 관계 개선 VII. 교황과 측근들의 부패한 성생활 - 알렉산더 6세 교황을 중심으로 - VIII. 천주교의 '혼인무효제도'는 정당한가? IX. 과거의 로마 천주교는 살인교였는가? - 개신교 박해사 -
참고문헌
서가브라우징
(알수록 재미있는)그리스도교 이야기. 12016 / 박승찬 지음 / 가톨릭
(알수록 재미있는)그리스도교 이야기. 22016 / 박승찬 지음 / 가톨릭
세계화 시대의 그리스도교: 20세기 교회사2020 / 지음: 배덕만 / 홍성사
기독교의 발흥2016 / 지은이: 로드니 스타크; 옮긴이: 손현선 / 좋은씨앗
기독교 관점으로 본 세계사 . 1 , 창조부터 발견의 시대까지(BC 4004~AD 1500) 2022 / 지음: 제임스 스토보 ; 옮김: 김희정 / 부흥과개혁사
거침없이 빠져드는 기독교 역사 : 우리가 미처 알지 못했던 재미있는 기독교 이야기2014 / 유재덕 지음 / 브니엘
그리스도교의 탄생 : 역사학의 눈으로 본 원시 그리스도교의 역사2016 / 정기문 지음 / 길
기독교 죄악사. 상 : 사건 위주로 기술한, 성직자들이 저지른 2000년 죄악의 발자취2017 / 지음: 조찬선 / 평단
기독교 죄악사. 하 : 사건 위주로 기술한, 성직자들이 저지른 2000년 죄악의 발자취2017 / 지음: 조찬선 / 평단
그리스도교, 역사와 만나다: 유대교의 한 분파에서 세계종교가 되기까지 2,000년의 이야기2020 / 지음: 데이비드 벤틀리 하트; 옮김: 양세규, 윤혜림 / 비아
그리스도교는 어떻게 중국을 공략했는가 : 마테오 리치의 제국주의 기독교와 중국불교2018 / 편저: 심장섭 / 자유문고
에라스무스와 루터의 생애와 사상 = Life and thoughts of Erasmus and Luther2016 / 저자: 김명수 / 그리심
종교개혁의 새벽별 = The morning star of the reformation : 존 위클리프와 존 후스의 생애와 사상2019 / 지음: 김명수 / 그리심
본회퍼를 만나다 : 그의 삶, 신앙, 신학, 사상 이해하기2013 / 자비네 드람 지음 ; 김홍진 옮김 / 대한기독교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