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서론: 관계 맺기의 어려움과 우리 시대의 고전
1부 자신과 올바른 관계 맺기
우리는 세상의 흐름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 지금 여기서 『금강경』 읽기
내 마음 속 부처를 어떻게 할 것인가? - 테러 시대에 지눌의 『수심결(修心訣)』 읽기
우리 시대에 공부란 무엇일까? - 공부가 고통인 시절에 율곡의 『격몽요결』 읽기
우리는 어떤 삶을 살아야 할까? - 행복과 의미 상실 시대에 『논어』 읽기
2부 다른 사람 및 공동체와 관계 맺기
낯섦을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 - 다종교 시대에 『꾸란』 읽기
윤리 귀환 시대에 시민으로 살아가기 -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윤리학』 읽기
우리 시대에도 보편윤리가 가능할까? - 칸트의 『윤리형이상학 정초』 읽기
이 땅에 정의(正義)가 살아 있을까? - 상징폭력의 시대에 플라톤의 『국가』 다시 읽기
정의(正義)를 어떻게 제도화할 수 있을까? - 촛불혁명의 완수를 위한 롤즈의 『정의론』 읽기
동정심은 우리를 위기에서 구할 수 있을가 - 핵 위기 시대에 밀의 『공리주의』 읽기
우리는 어떤 정치를 꿈꿀 수 있을까 - '촛불혁명'의 눈으로 다산의 『목민심서』 읽기
3부 일상을 넘어 다른 존재와 관계맺기
이 소리 없는 학살을 어떻게 끝낼 수 있을까 - 가축 학살 시대에 싱어의 『동물해방』 읽기
절망의 시대에 초월의 의미를 다시 문다 - 다종교 문화 속에서 『신약성서』 읽기
성장 신화의 미망(迷妄)에서 깨어나기 - 탈원전 선언과 함께 『도덕경』 읽기
어떤 진리를 추구하며 살아야 할까? - 진리 상대주의 시대에 『장자』 읽기
맺음말: 우리 일상 속에서 고전과 어떻게 만나야 할까?
참고문헌(읽을 만한 고전 번역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