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군사전략을 이해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전쟁의 본질, 전략이론, 전략사상부터 지상전략, 해양전략, 군사전략에 관한 응용분야라 할 수 있는 전략문화, 지정학, 비정규전, 그리고 한국의 ‘신 군사전략’ 등 ‘군사전략’에 관한 주제를 담고 있다.
목차
제1장 전쟁의 본질
1. 전쟁이란 무엇인가?
2. 전쟁의 원인
3. 전쟁의 진화
4. 전쟁의 유형
제2장 전략의 개념과 속성
1. 전략의 기원
2. 근대 이전 전략 개념의 발전
3. 근대 이후 전략 개념의 부활과 분화
4. 전략 개념의 재정의 필요성
5. 전략의 개념 정의
제3장 전략의 체계, 유형, 그리고 차원
1. 전략의 체계
2. 전략의 유형
3. 전략의 차원
제4장 전략의 속성과 쟁점
1. 전략은 과학인가, 술인가?
2. 군사전략의 정의 : ‘방법’인가, ‘수단’인가?
3. 공격과 방어 1 : 왜 방어가 강한가?
4. 공격과 방어 2 : 방어의 강함에 대한 반론
5. 중심의 문제 : 병력인가, 지역인가?
6. 결전의 문제
제5장 군사전략사상 : 손자와 클라우제비츠
1. 동양과 서양의 전략사상
2. 접근방법과 분석수준의 문제
3. 중심重心, center of gravity
4. 정보의 가치
5. 전쟁수행 : 기만과 기습
6. 후세 해석상의 오류
제6장 지상전략
1. 예방공격과 선제공격 전략
2. 공격전략과 방어전략
3. 소모전략과 기동전략
4. 전차를 이용한 기동전략
5. 간접접근전략
제7장 해양전략
1. 해양전략의 기원
2. 해양과 해군, 그리고 제해권
3. 강대국의 해양전략 1 : 머핸의 제해권
4. 강대국의 해양전략 2 : 코벳의 해양통제론
5. 약소국의 해양전략 : 해양거부론
제8장 항공전략
1. 항공력의 기원
2. 두에의 항공전략
3. 미첼의 항공전략
4. 트렌차드의 항공전략
5. 현대 항공력의 특성
6. 공중우세와 항공력의 본질
제9장 핵전략
1. 핵시대 이전의 억제전략
2. 억제의 조건
3. 냉전기 핵전략
4. 탈냉전기의 핵전략
제10장 전략문화
1. 전략문화의 개념
2. 전략문화 연구의 접근방법 : 한계와 가능성
3. 전략문화의 특성
4. 전략문화를 형성하는 요인
5. 각국의 전략문화
제11장 지정학과 군사전략
1. 지정학의 기원
2. 대륙 중심의 지정학
3. 해양 중심의 지정학
4. 항공 중심의 지정학
5. 군사전략적 함의와 지정학의 미래
제12장 무기기술과 군사전략
1. 고대와 중세 : 도구의 시대
2. 근대 전기 : 화약의 시대
3. 근대 후기 : 기계화의 시대
4. 현대 : 핵 및 정보화의 시대
5. 무기기술과 전략ㆍ전술
제13장 비대칭전략
1. 개요
2. 비대칭 전략의 개념
3. 비대칭 전략의 구분 : 수준, 차원, 유형
4. 비대칭 전략의 실제
5. 비대칭 위협에 대한 대응전략
제14장 비정규전 : 제4세대 전쟁과 분란전
1. 제4세대 전쟁의 개념과 특징
2. 분란전 전략
3. 사례 연구 : 중국혁명전쟁
4. 대분란전 전략
5. 제4세대 전쟁과 군사전략
제15장 한국의 군사전략
1. 서론
2. 전략 개념과 ‘신 군사전략’ : ‘실전 기반 억제’
3. 북한의 국지 도발 대비전략
4. 북한의 전면전 도발 대비전략
5. 북한의 핵위협 대비전략
6.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