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한국영화사총서 3권. 한국 영화와 미디어 텍스트에 대한 새로운 인식론적 전환, 독해의 대안적 가능성 모색, 동시대 한국영화의 정치적 경계에 대한 비평 담론 형성, 한국영화 또는 시네-미디어에 대한 트랜스내셔널한 접근을 국제 학술 심포지엄, 워크숍과 더불어 포럼과 아카데미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꾸준히 생산해오고 있는 트랜스: 아시아영상문화연구소의 성과물이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지은이의 말
제1장 다르게 역사 쓰기, 다양한 관객 그리기
1. 어둠 속에 집합해 스크린을 보는 눈
2. 분석의 세 시각
제2장 관객성 연구와 문화사 연구
1. 역사적 관객에 대하여
2. 새로운 역사 쓰기의 경향들
제3장 도쿄의 관객성
1. 영화관의 지역적 분포
2. 1920년대의 영화관과 관객의 관람 양상: 아사쿠사의 영화관
3. 1920년대 후반 이후의 영화관과 관객의 관람 양상
4. 오모리ㆍ가마타 지역의 영화관과 관객의 관람 양상, 그 효과
5. 도쿄의 불균질한 관객성
제4장 경성의 관객성
1. 영화관의 지역적 분포
2. 1920년부터 1930년대 중반까지의 영화관
3. 1920년부터 1930년대 중반까지의 상영 환경과 관람 양상
4. 1930년대 후반의 영화관
5. 1930년대 후반의 상영 환경과 관람 양상
6. 경성의 불균질한 관객성
제5장 관객성으로 본 1920~30년대 제국 일본과 식민지 조선
1. 불균질적으로 존재한 관람 양상과 그 효과
2. 영화관에서 작동하는 다양한 관계
3. 다양한 성격으로 존재한 식민지민
4. 관객성을 둘러싼 제국 일본과 식민지 조선의 관계
5. 과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