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 글
프롤로그 멸종ㆍ생태사관ㆍ문명
도도의 최후
강치의 최후
섬과 생물의 약탈, 아무에게도 주어지지 아니한 권한
강치 멸종의 문명사적 책임을 물음
1장 환동해 강치 생태계
독도강치의 역사적 서사와 강치 서식 조건
일본의 해양포유동물 멸종 산업
일본 본토의 강치 잔혹사
2장 환동해 강치 생태계
금단의 섬 울릉도는 강치에게도 낙원
요나고의 강치잡이 도해면허
강치 가죽과 기름과 살
조선의 대응과 출어 금지
3장 강치잡이 제2막: 독도병합의 촉매
요나고와 마쓰에의 해양력
나카이의 강치잡이와 시마네 현 독도 편입
강치사냥 독점의 열망
좁은 공간 독도의 집단학살극
4장 오키의 ‘다케시마 고유영토’ 심성사
‘다케시마’라는 집단심리 망탈리테
오키의 오랜 해양력과 환동해 장악력
변방의 ‘섬’이지만 ‘나라’인 오키
울릉도로 떠난 오키 사람들
5장 고카이 촌의 ‘다케시마 일기’
오키의 강치잡이 계보
고카이 촌 사진 아카이브와 울릉도 원주민 변증
고카이 촌 야하타 가문의 강치잡이 어렵총 변증
장기 지속 중인 야하타 가문의 주장, ‘다케시마는 일본 고유 영토다’
에필로그 멸종 그 이후
독도강치 최후의 만찬은 미군 폭격
독도강치 최후 목격자는 제주 해녀
박제로 남은 강치
강치를 위한 에피타프
부록 강치의 해양생물학적 갈래와 특성
주
참고자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