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선도(韓國仙道)와 현대단학(現代丹學) : 한국 고유 사상의 맥
발행연도 - 2015 / 지은이: 이승호 / 국학자료원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1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407978
-
ISBN
9791195464081
-
형태
378 p. 24 cm
-
한국십진분류
종교
>
도교
>
-
카테고리분류
인문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책소개
고대 문화에 대한 사상사적, 철학사적 관점에서의 연구는 부족한 현실이다. 이 책은 한국 고대 문화의 사상적 원형을 철학적 체계로 정리해보았고, 이러한 사상과 철학이 현재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어떤 시의성을 가져다 줄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목차
머리말
들어가는 말
1부. 한국선도
Ⅰ. 한국선도 문헌
1. 천부경
1) 모향산 석벽본
2) 천부경의 원문과 주해
(1) 민안부의 은문 천부경
(2) 이맥의 태백일사
(3) 기정진의 단군철학석의
(4) 계연수의 천부경요해와 이관집의 천부경직해
(5) 전병훈의 정신철학통편
(6) 권덕규의 단군천부경해
(7) 김택영의 소호당집속과 차수정잡수
(8) 최국술의 단전요의
(9) 이용태의 천부경도석주해
(10) 이시영의 감시만어
(11) 단군교의 단탁과 단군교부흥경략
(12) 권상노의 조선종교사초고
2. 삼일신고
1) 발해 석실본
2) 태소암본
3) 신사기본
4) 3종의 삼일신고 비교
5) ‘삼일’의 의미
3. 규원사화
4. 환단고기
Ⅱ. 한국선도의 기원
1. 한국선도의 정의
2. 한국선도 기원과 원류
Ⅲ. 한국선도의 전승과정
Ⅳ. 한국선도의 철학체계와 내용
1. 존재론
1) 천부경의 저작시기
(1) 도와 음양
(2) 오행
(3) 천부경의 존재론적 기본성격
2) 한국선도의 ‘존재’ 문제
(1) 천부경의 ‘무’개념
(2) 삼일신고의 ‘허공’인식
3) 삼원론적 세계관
4) 한
5) 하늘
6) 하느님
(1) 하늘과 하느님과의 관계
(2) 일신
(3) 삼신
(4) 제천의식에서의 신관
7) 기
2. 인간론
1) 인간 존재의 구조
2) 삼원조화와 주체
3) 인간성 회복: 복본
4) 신의 초월성과 내재성: 강재이뇌
5) 신과 인간의 합일: 신인합일과 성통
3. 수행론
1) 수행의 기본: 정성과 믿음
2) 삼법수행
(1) 지감
(2) 조식
(3) 금촉
4. 실천론
1) 개전일여의 자각
2) 홍익인간과 이화세계
(1) 홍익인간 사상의 기원과 전승
(2) 홍익인간과 제세이화의 구현: 성통공완
2부. 현대단학
Ⅰ. 한국선도 계승에 대한 판별 문제
Ⅱ. 현대단학의 철학적 특징
1. 삼원성과 주체성
2. 내단학적 특징
1) 기의 분류와 터득
2) 정·기·신론
3. 수련의 3대 원리
1) 수승화강
2) 정충기장신명
3) 심기혈정
Ⅲ. 한국선도의 현대적 계승
1. 한국의 광명 사상
1) ‘광명’의 상징성
2) 광명 사상의 현대적 지속: 생명전자 태양
2. ‘허공’의 개념과 인식의 문제
1) ‘허공’의 개념
2) ‘허공’ 인식: 브레인스크린
나오는 말
참고문헌
색인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1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1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