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박도식의 <강릉을 담은 역사와 문화>. '강릉의 역사.문화적 환경', '삼국시대 전후의 강릉', '통일신라 이후의 강릉', '강릉지역의 불교문화와 화랑유적', '고려시대의 강릉', '강릉의 성씨와 본관', '조선전기의 강릉' 등 총 15장으로 구성되었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이 책을 내면서
제1장 강릉의 역사·문화적 환경
1. 자연지리적 환경
2. 역사적 변천
3. 문화적 환경
제2장 삼국시대 전후의 강릉
1. 선사시대의 강릉
2. 초기국가 단계의 강릉
3. 삼국시대의 강릉
제3장 통일신라 이후의 강릉
1. 통일신라시대의 강릉
2. 신라하대의 강릉
3. 명주호족의 등장과 후삼국의 성립
제4장 강릉지역의 불교문화와 화랑유적
1. 삼국, 통일신라시대 강릉지역의 불교
2. 신라말 불교계의 새바람
3. 강릉지역의 화랑유적
제5장 고려시대의 강릉
1. 고려시대의 지방제도와 강릉
2. 고려시대의 군사제도와 강릉
3. 이민족의 침입과 강릉
4. 고려말 정국의 변화와 강릉
제6장 강릉의 성씨와 본관
1. 성씨와 본관
2. 강릉지역의 성씨와 본관
3. 강릉지역 토성의 문벌화와 사족화
제7장 조선전기의 강릉
1. 강릉대도호부의 행정구역
2. 강릉대도호부의 행정체계
3. 강릉대도호부의 군사조직
4. 강릉대도호부의 교통과 통신시설
5. 강릉대도호부의 물산
제8장 임진왜란과 강릉
1. 임진왜란의 발발과 일본군의 진격 상황
2. 일본군의 강원도 침략
3. 영동지역에서의 항전
제9장 조선시대 강릉의 유교문화
1. 향교
2. 서원
제10장 조선시대 강릉의 인물, 12향현
1. 12향현의 인물
2. 12향현 배향의 추이
제11장 조선후기 수취체제와 강릉
1. 강릉부의 경제적 조건
2. 전세
3. 대동세
4. 삼수미세
5. 군역
6. 환곡
제12장 조선후기 사회변동과 강릉
1. 사회변동의 요인
2. 상업의 발달
3. 천주교의 유입
4. 서민의식의 성장
제13장 근대의 강릉
1. 정부의 개화정책 추진
2. 위정척사운동의 전개
3. 동학농민전쟁의 전개
제14장 일제의 침략과 강릉지역의 국권수호운동
1. 의병항쟁
2. 애국계몽운동
제15장 일제시대 강릉지역의 항일운동
1. 일제의 강점과 무단통치
2. 강릉지역에서의 3·1만세운동
3. 신간회와 근우회의 강릉지회 활동
4. 강릉공립농업학교의 항일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