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 노무현 대통령 당선, 2008년 오바마 대통령 당선을 그 대표 사례로 들면서, 그동안 정치에 무관심한 세대로 여겨지던 젊은 층이 선거 정치에서 적극적인 참여자로 변모하게 된 과정을 사회과학적 연구 방법론에 의거해 분석한다.
목차
한국어판 서문
1 사이버 공간의 새로운 정치 실험 - 가상 공간에 형성된 새로운 공론장 토크빌이 목격한 옛 실험과 사이버 공동체의 새 실험 정보화 시대 새로운 공론장의 탄생 동원의 경험이 정치적 잠재력의 자각으로 정치 공동체의 본질은 가상이다 가짜라고 하기엔 너무도 생생한 사이버 공동체 ‘흩어졌던 다수’의 대반격 오바마, 관계의 기술로 청년층의 마음을 사로잡다 왜 한국과 미국인가? 각 장의 내용 요약
2 한국 핸드폰 보이들, 정치에 눈을 뜨다 - 신네트워크 정보 기술이 유발한 실험과 2002년 한국 대선 정보 기술이 사회적 자본을 잠식한다? 386세대와 2030세대 폭발적 전시 효과를 발휘한 386세대의 낙선 운동 스포츠로 결집한 2030세대, 촛불을 들다 노무현 일병 구하기 낮은 투표율? 결정적인 투표 블록! 신네트워크 정보 기술이 정치적 영향력을 갖기 위한 조건들
3 새로운 실험은 민주주의에 무엇을 예고하는가 - 쇠고기 수입 파동으로 위기에 처한 이명박 정부 한국 청년 세대가 거리로 나설 수 있었던 배경 하인리히 법칙으로 바라본 이명박 정부의 위기 전개 과정 정치적 선택이 곧 내 삶과 직결된다 거듭되는 위기 앞에 통제를 상실한 정부 재난의 경고와 징후들은 무시되었다 신네트워크 정보 기술이 민주주의에 끼칠 여파는?
4 미국 선거 시장의 블루 오션, Y세대 - 오바마는 어떻게 Y세대를 포섭했나 오바마 현상? 청년 유권자들은 어떻게 오바마의 디지털 병사가 되었나 네트워크는 실시간으로 후보들을 들여다본다 오바마 롱테일이 된 Y세대는 누구인가? 하룻밤에 수십억? 오바마 롱테일의 정치적 파워
5 오바마의 트위터 정치 - 트위터로 핵심 정치 의제 유포하기 메시지의 흐름이 투명하게 드러나는 트위터 MC-OSN의 킹메이커 Y세대 트위터의 정보 공유 패턴 꼬리에 꼬리를 물며 퍼지는 오바마 메시지 트위터는 데이터의 금광
6 결론 - 새로운 실험 이해하기 새로운 실험의 변형 2007년 한국 대선은 2002년 대선과 정반대인가?
감사의 말 주 표ㆍ그림 출처 참고 문헌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안녕, 인간 : 부와 권력을 지배하는 인공지능의 보이지 않는 공포가 온다2019 / 지음: 해나 프라이 ; 옮김: 김정아 / 와이즈베리
페이스북 심리학 : 페이스북은 우리 삶과 우정, 사랑을 어떻게 지배하고 있는가2015 / 수재나 E. 플로레스 지음 ; 안진희 옮김 / 책세상
일론 머스크가 그리는 미래, 뇌와 AI의 결합 IoB2022 / 지음: 하마다 가즈유키; 옮김: 송태욱 / 동아엠앤비
(4차 산업 혁명)세상을 바꾸는 14가지 미래 기술2016 / 한국경제TV 산업팀 지음 / 지식노마드
CES 20232023 / 지음: 한국경제신문 특별취재단 / 한국경제신문
(4차 산업 혁명)세상을 바꾸는 14가지 미래 기술2016 / 한국경제TV 산업팀 지음 / 지식노마드
한경 MOOK: CES 2022 2022 / 지음: 한국경제신문 X KAIST CES 2022 특별취재단석 / 한국경제신문
소셜 정치혁명 세대의 탄생 : 네트워크 세대는 어떻게 21세기 정치의 킹메이커가 되는가?2012 / 지음: 한종우 ; 옮김: 전미영 / 부키
언던 사이언스: 왜 어떤 과학은 제대로 수행되지 않을까?2020 / 지음: 데이비드 헤스; 옮김: 김동광, 김명진 옮김 / 돌베개
호모마키나: 기계와 함께하는 인간의 미래2020 / 외 지음: 한소원 / 커뮤니케이션북스
(단번에 이해하는)메타버스 3.02022 / 지음: 홍성용 / 매일경제신문사
21세기 데모론 : 변화를 이끄는 즐겁고 유쾌한 저항의 미디어2018 / 지음: 김경화, 이토 마사아키 [공] / 눌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