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발간사
심사평
최우수작
거울아 거울아, 이 세상에서 누가 제일 행복하니? / 전하림
MBC 〈나 혼자 산다〉와 SBS 〈미운 우리 새끼〉, 그리고 JTBC 〈한끼줍쇼〉까지
우수작
당신이 엿본 건 쇼(show)인가, 삶인가? / 김정경
‘시선’이란 관점에서 톺아본 관찰 예능, SBS 〈미운 우리 새끼〉
슈퍼맨이 돌아왔다? 트루먼이 찾아왔다! / 정현환
KBS 〈슈퍼맨이 돌아왔다〉 시청자 게시판을 통해 본 리얼리티 관찰 예능의 현주소
예능이 ‘힐링’을 표현하는 방식 / 정은우
JTBC 〈효리네 민박〉
거대한 비밀의 숲속으로 / 김혜라
tvN 드라마 〈비밀의 숲〉에 대한 통찰
가작
저녁 밥술에 자살을 올리다 / 조예진
SBS 일일드라마 〈사랑은 방울방울〉을 중심으로
예능×교양= 수다 인문학 / 김보경
tvN 〈알아두면 쓸데없는 신비한 잡학사전〉
수요미식회, 그 달콤 씁쓸함에 대하여 / 한지웅
tvN 〈수요미식회〉
가난한 여자를 위한 사회는 없다 / 우현주
JTBC 〈크라임씬3〉
두 얼굴의 TV / 권택경
SBS 〈백종원의 푸드트럭〉을 통해 본 공익 예능의 역설
빈 ‘술집’이 요란하다 / 남성곤
tvN 예능 〈인생술집 시즌 1〉
방송은 ‘프로예민러’가 되어야 한다 / 이지은
예능 방송을 통해 살펴본 여성의 현주소
한 끼 주면, 한 끼 갚나요? 마냥 따뜻하게만 볼 수 없는 나그네의 방문 / 이나현
JTBC 〈한끼줍쇼〉
틀어진 시선으로 바라본 탈북민과 북한 / 김형일
채널A 〈이제 만나러 갑니다〉
뜨거운 것이 좋아, 아니 차가운 것도! / 한재연
tvN 〈비밀의 숲〉과 JTBC 〈품위 있는 그녀〉 읽기
입선
선행, 그때는 맞고 지금은 틀리다 / 황채림
JTBC 〈내 집이 나타났다〉
종편 정치 토크쇼의 방향 / 김내훈
JTBC 〈썰전〉, 채널A 〈외부자들〉, MBN 〈판도라〉
생존을 위해 공존하는 / 최은별
KBS 〈명견만리〉
인문이란 화려한 관보다 돋보였던 객쩍은 한담 / 서동진
tvN 〈알쓸신잡〉
자신감을 갖고 ‘나눔’으로부터 오는 행복 즐기기, 현실의 윤식당을 꿈꾸며 / 문영주
tvN 예능 〈윤식당〉
불의를 향한 ‘분노의 온도’ / 조만희
tvN 〈비밀의 숲〉, 인간의 이성으로 정의를 추구하는 이 드라마만의 방법
나리의 아빠는 왜 중국에 있을까 / 정진아
SBS 〈질투의 화신〉을 보고
시대의 초침이 향해 있는 ‘우리’라는 초상 / 윤성호
타임슬립 드라마 KBS 〈맨홀〉, tvN 〈명불허전〉, SBS 〈다시 만난 세계〉를 중심으로
네모의 꿈 / 남지행
JTBC 드라마 〈이번 주 아내가 바람을 핍니다〉
결혼 제도의 경계선에 선 사람들 / 이오림
JTBC 〈이번 주 아내가 바람을 핍니다〉
시간여행 속 애도와 치유 그리고 정의의 이야기, 〈터널〉 / 강태경
있는 그대로가 좋다 / 이상진
숲에서 길을 찾다 / 김현순
tvN 〈비밀의 숲〉이 현실을 소환하는 방식
뉴스의 혁명적인 변혁을 이끌다 / 김지민
JTBC 〈뉴스룸〉
인적 자본 상품화의 진화 / 심수현
Mnet 〈프로듀스 101 시즌 2〉
주부들의 해우소(解憂所)인가 갈등의 촉매제인가 / 김동주
또 다른 ‘갑질 사회’의 답습 / 이세리
Mnet 〈프로듀스 101 시즌 2〉를 통해 본 가학 예능의 폭력성
21세기형 연애, 20세기의 늪에 빠지다 / 김주리
우리는 지금 뜨거운 사이다 / 박호현
답답한 세상에 한 모금, On Style·OLIVE 예능 〈뜨거운 사이다〉
방송은 렌즈다 / 김정은
EBS 〈명의〉와 〈메디컬 다큐-7요일〉은 광학 렌즈다
정치, 참 쉽죠 / 최형인
JTBC 정치·시사 프로그램 〈썰전〉
비밀의 불복종 / 허민선
tvN 〈비밀의 숲〉이 남긴 잉걸들
빨간 사춘기, 성장을 줄게 / 김서연
KBS 드라마 스페셜 〈빨간 선생님〉
아버지가 보여준 우리 사회 / 김정세
SBS 〈귓속말〉
끝없이 굴려가는 삶의 무게 / 조예원
KBS 〈순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