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속에는 북한이탈여성들의 눈물과 고통으로 점철된 생애 드라마가 생생하게 표현되어 있다. 북한에서 목숨 걸고 탈출하여 남한에 와서 겪고 있는 여러 어려움과 고통, 북한의 실상에 대한 그동안 숨겨진 이야기를 세상 밖으로 드러내서 세상 사람들에게 알리고 소통하고자 한다.
목차
들어가는 말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목적 제2절 기존 연구의 검토 제3절 연구범위 및 방법 1. 연구범위 2. 연구방법 3. 연구의 구성
제2장 북한이탈주민의 이론적 고찰 제1절 북한이탈주민의 정의 및 특이성 1. 북한이탈주민의 정의 2. 북한이탈주민의 특이성 제2절 북한이탈주민의 현황 및 지원정책 1. 북한이탈주민의 현황 2. 북한이탈주민의 지원정책
제3장 연구절차 및 윤리적 고려 제1절 내러티브 탐구 절차 1. 현장으로 들어가기(Being in the Field) 2. 현장에서 현장 텍스트로(From Field to Field Text) 그리고 현장 텍스트 구성하기(Composing Field Text) 3. 현장 텍스트에서 연구 텍스트로(From Field Text to Research Text) 그리고 연구 텍스트 구 성하기(Composing Research Text) 제2절 연구 신뢰성 및 윤리적 고려 1. 연구 타당성과 신뢰성 2. 연구 참여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
제4장 연구결과의 분석 제1절 북한탈출 이전까지 북한에서의 경험 1. 북한에서 태어나 유년, 소녀시절의 경험 2. 군대 생활과 오리공장에서 오리사육공의 경험 3. 대학시절과 졸업 후 직장생활의 경험 4. 고난의 행군시기의 다양한 경험(1990년대 중?후반) 5. 결혼과 북한탈출 배경(1994∼2004년도) 제2절 북한탈출 후 한국에 입국하여 겪었던 경험 1. 북한탈출 후 중국을 거쳐 한국에 입국하기 전까지 경험 2. 한국사회 적응을 위해 겪어야만 했던 역경 제3절 한국사회에 성공적으로 적응하기까지의 경험 1.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지원제도에 대한 부정적 인식 2. 한국사회에서 고난을 딛고 적응에 성공 3. 남북한 문화의 차이로 인한 남북의 인식 차이 4. 지원제도의 부분별 연구 참여자의 수혜 현황
제5장 결론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1. 연구 참여자에 대한 분석 2. 한국사회 적응과정의 경험 분석 3. 연구결과 분석된 특이사항 및 문제점 제2절 제언 1. 연구의 한계 2.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