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AKS 인문총서 17권. 일제가 신라 역사문화를 왜곡하는 양상을 당시 발행된 조선총독부 관보와 여러 신문.잡지 등을 중심으로 살피면서, 왜곡 상황을 생생하게 이해하는 한편, 그 속에 담긴 일제의 교활한 의도를 분명하게 이해하여 신라사에 대한 잘못된 이해를 바로잡고자 하였다.
목차
개관 / 김창겸
신라 인물 왜곡상 / 김덕원
1. 머리말
2. 신문의 신라 인물 기사 분석
3. 잡지의 신라 인물 기사 분석
4. 신라 인물 기사의 특징
5. 신라 인물 기사의 의미
6. 맺음말
신라 역사지리 왜곡상 / 박남수
1. 머리말
2. 신라 역사지리에 대한 인식과 경주의 고호(古號) 낙랑
3. 송석하의 『경주읍지』 조사와 「월성기 서문」
4. 맺음말
신라 역사ㆍ제도 왜곡상 / 채미하
1. 머리말
2. 신라의 건국과 3성 시조설화: 『삼국사기』 초기 기록에 대한 불신과 대응
3. 임나일본부설과 신라의 한반도 통일
4. 신라의 골품제와 관등
5. 화랑도에 대한 이해: 고유문화의 왜곡
6. 맺음말
신라 고적 왜곡상 / 장일규
1 머리말
2 신라 고적 기사의 분석
3 신라 고적의 평가
4 신라 고적 기사의 의미
5 맺음말
신라 ‘경주신화’ 왜곡상 / 강희정
1. 머리말
2. 조선시대의 경주와 일제강점기의 경주
3. 관광도시 경주의 기생
4. 맺음말
부록: 관련 언론 기사 목록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