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01 가족의 개념 제1절 가족이란 1. 가족의 소중함은 보편성이다 2. 우리 사회에서 가족은 더욱 특별하다 제2절 가족의 개념 1. 학문적 차원에서의 가족의 개념 2. 가족 관련 법에서의 가족의 개념과 범위 3. 인식적 차원에서의 가족의 개념
Chapter 02 사회 변화와 가족 변화 제1절 사회 변화 1. 한국 사회의 변화 2. 글로벌 환경 변화 제2절 가족 환경 변화 1. 저출산 2. 고령화 3. 소득의 양극화와 갈등의 심화 4. 여성의 사회경제 활동 참여 증가 제3절 가족 구조의 변화 1. 가족 규모의 축소 2. 세대 구성의 단순화 3. 가족 형태의 다양화 제4절 가족 기능의 변화 1. 가족의 경제적 기능 2. 가족의 재생산 및 성행위 규제 기능 3. 가족의 자녀 양육 및 사회화 기능 4. 노인에 대한 부양 기능 5. 정서적 기능
Chapter 03 가족과 다양성, 보편화되는 가족 제1절 혼인과 관련된 구조적 변화를 선택한 가족 1. 이혼가족 2. 재혼가족 제2절 가족 기능의 변화를 도모한 가족 1. 맞벌이가족 2. 입양가족 3. 조손가족 제3절 폭력을 경험하는 가족 1. 가족폭력의 현황 2. 가족폭력의 사회 문제화 및 제도화
Chapter 04 가족과 다양성, 새롭게 대두되는 가족 제1절 뉴 라이프스타일을 선택한 가족 1. 독신가족 2. 떨어져 생활하는 가족 3. 자발적 무자녀가족 4. 양육미혼모가족 제2절 문화적 다양성을 경험하는 가족 1. 다문화가족 2. 북한이탈가족 제3절 기타 가족 1. 동성애가족 2. 미래의 가족 형태는?
Chapter 05 가족 이론, 실천 이론 및 실천 원칙 제1절 가족에 관한 이론 1. 구조기능론 2. 갈등이론 3. 상징적 상호작용론 4. 교환이론 5. 페미니스트 이론 제2절 건강가족을 위한 실천 이론 1. 체계이론 2. 생태체계 이론 3. 가족발달주기 관점 4. 강점관점 5. 임파워먼트 관점 6. 다문화 관점 제3절 건강가족을 위한 실천 원칙 및 실천 사례 1. 핵심적인 실천 원칙 2. 실천 사례
Chapter 06 건강가정 제1절 건강가정의 구성 요소 1. 스티넷 등의 튼튼한 가족의 개념 2. 튼튼한 가족의 구성 요소 3. 튼튼한 가족 만들기 제2절 가족의 건강성을 회복시키는 가족탄력성 1. 가족탄력성 2. 가족탄력성 요인 3. 가족탄력성을 적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제3절 가정, 사람을 만드는 공장 1. 양육적인 가족 2. 가족 의사소통 3. 사티어의 의사소통 유형을 적용한 프로그램
Chapter 07 가족정책 제1절 가족정책 1. 가족정책의 필요성 및 발달 과정 2. 가족정책의 개념 및 유형 제2절 한국의 가족정책 1. 가족정책 흐름 2. 가족정책 관련 법 제정 및 주요 내용 3. 건강가정기본계획 및 다문화가족정책 기본계획 4. 가족정책 기본 방향 및 주요 역점 추진 과제 제3절 외국의 가족정책 1. 해외 가족정책 동향 2. 외국의 가족정책 사례
Chapter 08 가족정책 전달 체계 제1절 건강가정지원센터 1. 건강가정지원센터의 현황 2.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사업 주체별 역할 3. 건강가정지원센터 사업 제2절 다문화가족지원센터 1.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현황 2.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사업 제3절 한부모가족지원센터 1. 한부모가족지원센터의 역할 2. 한부모가족지원 사업 제4절 건강가정사 1. 건강가정사의 정의와 역할 2. 건강가정사의 자격 및 직업윤리
Chapter 09 건강가정사업 제1절 건강가정사업의 진행 단계 1. 기획 2. 실행 3. 평가 제2절 건강가정사업의 지침 1. 가족상담 2. 가족교육 3. 가족문화 4.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축 및 자원 연계 제3절 건강가정사업의 프로그램 사례 1. 가족상담 프로그램 2. 가족교육 프로그램 3. 가족문화 프로그램 4.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축 및 자원 연계 프로그램, 경기도 거점 미혼모·부자 지원사업 5. 공동생활가정형(매입임대주택) 주거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