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선비의 미시사와 일상사로 읽는 조선 시대. 우리는 역사를 통해 현재와 미래를 고민하고 발전시킨다. <청대일기淸臺日記>는 바로 이러한 고민 속에서 선택되었으며, 관료이자 학자인 청대 권상일의 일기는 많은 부분 윤색된 관찬 사료가 보여주지 못하는 당시의 정국 분위기를 생생하게 드러내기에 충분히 적합한 자료이다.
목차
책머리에
1장 청대 권상일의 정치사회적 활동과 『청대일기』 1 머리말 2 『청대일기』의 체제와 내용 3 가문의 배경과 출사 준비 4 숙종 대의 정치적 상황과 출사 5 영조 대 초반의 관직 생활과 사회 활동 6 영조 대 중반의 정치사회적 활동과 위상 7 맺음말
2장 『청대일기』를 통해서 본 권상일의 서원 활동 1 머리말 2 18세기 전반 상주 지역의 서원- 남·노 간 갈등을 중심으로 3 권상일의 서원 활동과 역할 4 권상일의 서원 교육 활동 5 맺음말
3장 일기에서 엿보다: 권상일의 문학 감성과 그의 한시 1 머리말 2 『청대일기』에 나타난 문학 작품과 논평들 3 『청대일기』 소재 한시의 내용과 특징 4 맺음말
4장 어느 유교 지식인의 일상의례 1 권상일과 『청대일기』 2 관례, 혼례에 통합되어 실행되다 3 상례, 죽지도 못하는 현실 4 제례, 효제를 실천하다 5 결론
5장 『청대일기』를 통해서 본 일상의 철학 1 일기와 일상의 기록 철학 2 일상의 기록과 유학적 사유 3 인물 및 세태에 대한 평가와 기준 4 오령 의식과 출처 5 마치며
6장 퇴계학파의 전개와 권상일의 성리설 1 여는 글 2 이이의 퇴계설 비판과 이현일의 재비판 3 권상일의 이이 성리설 비판과 그의 성리설 4 권상일과 이익·이상정의 성리설 논변 5 맺는 글
서가브라우징
조선에 놀러간 고양이2018 / 아녕 지음 ; 김종성 해제 / 위즈덤하우스
조선 금수저의 슬기로운 일상탐닉2021 / 지음: 안나미 / 의미와재미
한양의 도시인: 선비는 연애하고 노비는 시를 짓네2022 / 지음: 안대회 / 문학동네
당신에게로 : 남편 이황에게 보내는 권씨 부인의 마음 2020 / 안소영 지음 ; 김동성 그림 / 메멘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