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부 신자료의 작품 세계와 유형적 특성
「오로봉기」의 작품 세계
1. 머리말
2. 줄거리
3. 운명의 형식
4. 주동적 여성상과 애정의 시적 교감
5. 타 작품과의 관계
6. 맺음말
「권용성전」의 작품 세계와 소설사적 위상
1. 머리말
2. 이본 비교
3. 작품 세계와 이본 이분화
4. 소설사적 의의
5. 맺음말
「안은동전」의 세계와 영웅소설의 지평 확장
1. 머리말
2. 줄거리
3. 구성과 표현
4. 소설사적 의의
5. 맺음말
「두씨정절록」의 작품 세계
1. 머리말
2. 줄거리
3. 제재적 근원
4. 작품의 주요 특징
5. 맺음말-소설사적 의의
「문장풍류삼대록」의 구성과 지향
1. 머리말
2. 줄거리
3. 사실과 소설의 차이
4. 「문장풍류삼대록」과 「소소매삼난신랑」의 소소매
5. 문재의 헌시와 풍류 가문적 면모
6. 맺음말
제2부 창작과 유통 방식의 새로운 면모
「화씨충효록」과 「제호연록」의 관계
1. 머리말
2. 「제호연록」의 이본과 줄거리
3. 「화씨충효록」의 연작 「제호연록」
4. 맺음말
「화씨팔대록」의 이본과 작품 세계
1. 머리말
2. 「화씨팔대록」의 개요와 이본
3. 「화씨팔대록」의 작품 세계
4. 맺음말
「양문충의록」의 이본과 「현몽쌍룡기」연작과의 관계
1. 머리말
2. 서지와 이본 비교
3. 「현몽쌍룡기」-「조씨삼대록」연작과의 관계
4. 맺음말
「장태문전」의 작품 세계와 필사본 고소설의 유통
1. 머리말
2. 줄거리
3. 기존 소설의 계승
4. 독자적 성격
5. ‘필사기’가 지닌 의미
6. 맺음말
발췌본을 통해 본 장편소설 향유자들의 작품 수용의식
1. 머리말
2. 발췌본의 형성과 작품 수용의식의 관련성
3. 발췌본 분석
4. 발췌본을 통해 본 작품 수용의식
5. 맺음말
제3부 장편소설의 새로운 세계와 지향
「양문충의록」의 작품 세계
1. 머리말
2. 기존 논의 검토
3. 줄거리
4. 작품 세계
5. 맺음말
「취승루」의 창작 의식과 인물 형상
1. 머리말
2. 영웅소설 구조와 무(武)의 중시
3. 갈등 주체의 변모된 인물 형상
4. 창작 의식과 인물 형상의 소설사적 의미
「유이양문록」의 구성 인물 공간
1. 머리말
2. 구성 방식
3. 인물 형상
4. 공간 형상
5. 맺음말
「효의정충예행록」의 이본과 작품 세계
1. 머리말
2. 서지 및 이본 비교
3. 줄거리
4. 작품 세계
5. 맺음말
「낙천등운」을 읽는 재미
1. 머리말
2. 인물형상과 재미
3. 맺음말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