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제1장 세월호의 침몰, 한국의 침몰: 압축적 근대화와 복합적 리스크 / 서재정
1부 세월호 참사의 병리(病理)
제2장 세월호, 신자유주의 규제 완화가 불러온 예고된 재난 / 이윤경
제3장 세월호 참사와 기업·정부의 사회적 무책임: 중독조직 이론의 시각 / 강수돌
2부 국가와 지배 구조
제4장 세월호 참사로 돌아본 한국 민주체제의 공고화 정도: 민주주의를 심화하는 대중, 민주체제에 도전하는 정치 엘리트 / 남태현
제5장 여객선 안전규제에 나타난 정부-산업 간 유착과 포획: 박정희 정권의 국가조합주의 유산과 세월호 비극 / 유종성·박연민
제6장 “가만히 있으라”: 세월호 사태에서 검열과 국가후견주의의 영향 / 박경신
3부 주체성
제7장 한국에서 유순한 학생 만들기: 훈육 패러다임의 변화를 중심으로 / 문승숙
제8장 재난 경험의 민족국가적 구획과 사회적 연대의 가능성: 베트남 결혼이민자 유가족의 경험을 중심으로 / 이현옥
제9장 수동적 시민에서 저항적 주체로: 세월호 참사 유가족들은 어떻게 국가권력에 맞서왔는가? / 이현정
에필로그
제10장 난파한 세월호: 붕괴하는 정치적 통일체, 대한민국 / 존 리
엮은이의 말_유리의 성(城), 부재와 배신의 국가 / 김미경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