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한 장르를 탐구하거나 한 시대를 한정지어 연구한 것이 아니라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추리물 장르를 대표하는 작품들을 분석한다. 또한 문학, 영화, 드라마, 잡지를 넘나들며 추리물 장르의 특성과 영향력을 탐구하였다. 전 책보다 필자의 수가 늘어난 만큼 추리물의 역사와 현재에 대한 방대한 분석을 담고 있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이 책을 내면서
제1부 [총론] 한국 추리서사와 탐정의 존재론 / 박유희
Ⅰ. 한국 추리서사 논의를 위한 전제
제1절 왜 지금 추리서사인가?
제2절 추리서사의 정의와 범주
제3절 추리서사의 유형 분류
Ⅱ. 한국 추리서사의 역사적 전개와 매체의 역할
제1절 한국 추리서사의 ‘탐정’ 표상과 시대 구분
제2절 관(官)에 의한 신원(伸寃)과 직관적 해결자
제3절 정탐(偵探)에서 탐정(探偵), 그리고 스파이로
제4절 제도권 탐정의 약화와 범죄자의 부상
제5절 추리와 현실의 대면과 탐정의 자살
제6절 이분법의 붕괴와 추리 게임의 시작
〈추리물 관련 연구 현황〉
제2부 근대 추리서사의 연원과 장르의 형성
Ⅰ. 전근대 추리서사에서 근대 추리소설로
제1절 한국 고전서사와 추리 모티프 / 오윤선
제2절 조선 후기 서사의 살인 범죄와 해결방식 / 이주영
제3절 정탐소설의 등장과 초기 창작 추리소설 / 고은지
제4절 번역·번안 추리소설의 수용과 취향의 분화 / 이주라
Ⅱ. 근대 추리소설의 개념·형성·유통
제1절 식민지 탐정소설 서적의 유행과 굴절 / 김종수
제2절 ‘탐정’·‘기괴’ 개념을 통해 본 탐정소설의 형성과정 / 김지영
제3절 소년소설의 형성과 탐정소설 / 조은숙
제4절 탐정·스파이물과 동아시아 지정학 / 송효정
제3부 추리서사의 확산과 매체의 다원화
Ⅰ. 스릴러의 전유와 추리물의 대중오락화
제1절 해방 이후 서구 스릴러의 한국적 수용 / 이길성
제2절 탐정소설의 민족주의적 의장(擬裝)과 대중오락화 / 조계숙
제3절 1960년대의 자기분열과 스릴러 영화 / 오영숙
Ⅱ. 이분법에의 긴박과 추리서사의 균열
제1절 1970년대 방송 드라마의 위상과 법에 대한 태도 / 이영미
제2절 유신체제하의 자기검열과 균열의 징후 / 최애영
제3절 한국 추리전문 잡지의 등장과 작가군의 형성 / 배지완
Ⅲ. 이분법의 붕괴와 다원적 놀이로서의 추리
제1절 2000년대 스릴러 영화, 반사회적 범죄와 법의 무효화 / 이현경
제2절 신감각 추리 드라마, 가진 자들의 범죄와 심리 게임 / 김유미
제3절 일본 추리소설의 수용과 한국 추리소설의 현황 / 김봉석
참고문헌
찾아보기
일러두기
저자 약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