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 1 평생교육의 새로운 지평 1장 평생학습, 평생교육, 평생직업 01 깨끗한 공기, 맑은 물, 평생학습 02 가르침으로 즐거움을 얻으려면 03 곤이불학(困而不學)의 우(愚)를 범하지 않으려면 04 평생교육 패러다임, 대학 주도로 바꾸자 05 4차 산업혁명과 일자리
PART 2 평생교육의 기반 2장 평생교육의 이론적 기반 01 성인학습이론 02 전통적 학습이론 03 교육에 대한 사회학적 관점 3장 평생교육의 법적 기반 01 평생교육법의 구조 02 평생교육법의 발달과정 03 현행 평생교육법의 주요 내용 04 현행 평생교육법의 주요 개정 내용 4장 평생교육의 행정적 기반 01 평생교육 행정 체제의 구분 02 중앙정부의 평생교육 행정 체제 03 지방정부의 평생교육 행정 체제 04 소규모 행정단위의 평생교육 행정 체제 5장 평생교육의 정책적 기반 01 해방 이전의 평생교육 기초 02 제1공화국: 이승만 정부(1948-1960) 03 제2공화국과 제3공화국: 박정희 정부(1960-1979) 04 제4공화국과 제5공화국: 전두환 정부(1979-1988) 05 제6공화국: 노태우 정부(1989-2003) 06 문민정부: 김영삼 정부(1993-2007) 07 국민의 정부: 김대중 정부(1998-2003) 08 참여정부: 노무현 정부(2003-2007) 09 이명박 정부(2008-2013) 10 박근혜 정부(2013-2017)
PART 3 평생교육의 실천 6장 평생학습자와 평생교육기관 01 평생학습자 및 학습권 02 평생교육기관과 시설 7장 평생학습 참여 01 평생학습 참여의 개념과 현황 02 평생학습 참여의 원인 8장 평생학습 인정 01 평생학습 인정의 의미 02 평생학습 인정의 유형별 이해와 흐름 03 평생학습 인정의 미래 9장 평생교육프로그램 01 평생교육과 평생교육프로그램 02 평생교육프로그램의 정의 03 평생교육프로그램 유형에 대한 이해 04 평생교육프로그램 유형별 과제 05 평생교육프로그램의 질적 발전을 위해
PART 4 평생교육의 가치 10장 평생교육 공공성과 사회통합 01 평생교육 공공성에 대한 의미 02 소외계층 대상의 평생교육에 대한 이해 및 흐름 03 평생교육 공공성 강화 방향 04 평생교육 공공성을 통한 사회통합을 위하여 11장 평생교육 전문성과 평생교육사 01 평생교육자 02 평생교육 전문성과 평생교육사 03 평생교육사 전문성의 개념 04 평생교육사 전문성 관점에서 본 평생교육사 양성제도 흐름 및 현황 05 평생교육사의 역할 및 직무 06 평생교육사의 전문성을 위하여 12장 평생교육 지역성과 평생학습도시 01 학습도시의 개념 및 전개과정 02 평생학습도시 조성 사업 13장 평생교육 국제성과 국제기구 01 유네스코(UNESCO) 02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03 UNESCO와 OECD의 비교 04 유럽연합(E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