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일러두기-『도덕경』 주석과 관련하여
에로스와 생명정치-도덕경(道德經) 주석
제1장 프롤로그-도의 원리와 생명
제2장 과정으로서의 삶과 꼬뮨
제3장 무위의 정치적 거버넌스
제4장 다시 도의 근원, 혹은 실체에 대하여
제5장 현상학적 환원
제6장 여성성과 생명
제7장 가이아 가설(Gaia theory)
제8장 좋은 정치
제9장 나아감과 물러섬
제10장 비유의 힘, 혹은 묘령의 여인
제11장 무목적의 합목적성과 노자
제12장 자본 사회와 분열증(1)
제13장 왜 인내를 요구하는가
제14장 노자의 정치적 이데아
제15장 도는 마침내 내 안에 있다
제16장 상호부조와 꼬뮌
제17장 정치의 최종심급은 시적 언어를 향한다
제18장 자본 사회와 분열증(2)
제19장 비움에 대하여
제20장 정치(가)와 고독
제21장 ‘기관없는 신체’와 잠재성
제22장 근대적 사유, 혹은 남성성의 이면
제23장 ‘취우’와 생명력
제24장 노마드적 사유
제25장 물(物)의 자연과 도
제26장 댓구법, 혹은 이중구속
제27장 인간에 대한 예의
제28장 여성성과 덕
제29장 작위의 한계를 넘어
제30장 병영형 국가주의
제31장 전쟁과 군대
제32장 반복 모티브에 대하여
제33장 지족
제34장 웅덩이와 도
제35장 해석의 고루함을 넘어
제36장 미명(微明)의 에너지
제37장 통나무와 적자(赤子)
제38장 덕의 실체
제39장 덕의 정치
제40장 유물혼성과 도
제41장 무명의 진리
제42장 상생과 조화
제43장 변화의 전환기적 모티브
제44장 탐욕과 절제
제45장 리좀의 네트워크
제46장 상족(上足)
제47장 견자 칸트
제48장 다시 비움에 대하여
제49장 포용의 정치
제50장 섭생에 대하여
제51장 현덕에 대하여
제52장 구멍에 대하여
제53장 정치의 부재로부터 다른 정치로
제54장 세계는 자발성으로 감응한다
제55장 사랑의 파문
제56장 현동(玄同)
제57장 통나무의 교훈
제58장 양극의 조화로서의 정치
제59장 검소한 농부
제60장 덕의 정치
제61장 여성성의 정치, 혹은 분단체제 이후의 한국
제62장 문학과 정치적 기초
제63장 무위, 무사, 무미의 정치
제64장 덕의 실천으로서의 무위
제65장 계식(稽式)의 의미
제66장 부쟁
제67장 정치의 세가지 덕목
제68장 다시 좋은 정치에 대하여
제69장 무행(無行) : 정치에 임하는 태도
제70장 소통
제71장 무지와 무위
제72장 정치적 불신
제73장 다시 나아감과 물러남에 대하여
제74장 정치와 공포
제75장 세금의 형평성과 투명성, 혹은 조세 저항에 대하여
제76장 부드러움의 힘
제77장 정치 구조를 넘어 국가 구조를 바꾸는 일
제78장 정언(正言)
제79장 더 좋은 정치에 대하여
제80장 이상국가, 혹은 마을자치와 꼬뮌
제81장 에필로그-시적 언어와 정치적 언어
미적인 것과 에로스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