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개인, 가족, 공동체, 계급, 국가에서 이루어지는 근대성의 경험을 개인기록 속의 '작은 사람들'의 삶 속에서 찾는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서문 근대가족, 농촌 여성, 도시 노동자: 동아시아 압축근대 양상의 비교 / 이성호
제1부 근대가족
제1장 처첩 가족사에 나타난 남성의 욕망과 근대가족: 창평일기(1969-1994)를 중심으로 / 이순미
제2장 일기를 통해 본 압축근대기의 중혼의 가족생활 / 이정덕
제3장 무봉임씨[霧峰林家] 가문의 여성 일기: 양수심[楊水心]과 진령[陳岺] / 리위란(李毓嵐)
제2부 농촌여성
제4장 근대화 과정 속 일본 농촌 여성의 표상과 주체성: 농촌 생활개선보급사업(生活改善普及事業)에서 나타난 여성 글쓰기 분석 / 이와시마 후미(岩島史)
제5장 한국 남성 일기에 나타난 1970-80년대 농촌 여성의 생활 세계:『창평일기』, 『아포일기』, 『금계일기』를 사례로 / 진명숙
제6장 『대천일기』와 농촌 여성의 노동 / 양흥숙·공윤경
제3부 도시
제7장 “액화된 노동”: “세계 공장” 속의 농민공-중국남부 주강삼각주지역 농민공 실태에 대한 이론적 고찰 / 박광성(朴光星)
제8장 1970-19180년대 여성노동자의 도시 경험과 근대 의식의 형성 / 이성호
제9장 현대 중국 중산계급의 구조, 의식 및 기능 / 친광챵(秦广强)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