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한국정치연구총서 13권. 서울시 5개 자치구(강동구, 금천구, 마포구, 성북구, 은평구)와 전국 5개 지자체(광주 광산구, 인천 남구, 전북 완주, 전북 전주, 충북 옥천)의 사회적경제 사례를 다루고 있다.
목차
서문
기획과 준비
교육과정
연구와 집필
감사의 말
첨부 자료①
첨부 자료②
첨부 자료③
첨부 자료④
제1부 사회적경제와 지자체
제1장 지자체 사회적경제 거버넌스의 특징과 유형
Ⅰ. 들어가면서
Ⅱ. 기초 지자체 사회적경제 거버넌스의 다층성과 통합성
Ⅲ. 기초 지자체 사회적경제 거버넌스의 전략성과 유형
제2부 서울시 자치구 사회적경제 사례 분석
제2장 사회적경제로 ‘감동’을 주는 ‘강동’: 중간지원조직, 도시농업, 엔젤존(Angel Zone) 사례를 중심으로
Ⅰ. ‘해뜨는 강동’ 들여다보기
Ⅱ. 강동을 바라보는 분석의 틀
Ⅲ. 사회적경제의 미드필더, 중간지원조직
Ⅳ. 2평의 행복, 모두가 함께하는 도시농업
Ⅴ. 개인적 선의와 제도적 지원, 그 간극에 선 ‘엔젤존’
Ⅵ. 결론: 추격자에서 선도자로
제3장 사회적경제 생태계 만들기의 숨은 힘: 중간지원조직을 통해 본 금천구 사회적경제
Ⅰ. 들어가며
Ⅱ. 중간지원조직과 민관협력
Ⅲ. 중간지원조직은 어떻게 협력의 마중물이 되는가
Ⅳ. 사회적경제 생태계와 민민협력
Ⅴ. 맺음말
제4장 공동체 관계망 속에서 무럭무럭 자라는 마포의 사회적경제: 공간, 행위자,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Ⅰ. 마포의 사회적경제는 어디에서 싹트고 있을까?
Ⅱ. 마포의 사회적경제는 누가 만들까?
Ⅲ. 마포의 사회적경제는 어떻게 연결될까?
Ⅳ. 맺음말: 공동체 관계망 속에서 무럭무럭 자라는 마포의 사회적경제
제5장 성북구 사회적경제를 통한 정치의 재발견
Ⅰ. 문제제기
Ⅱ. 성북구의 사회적경제 생태계 개괄
Ⅲ. 사회적경제에 대한 비판적 고찰: 행정 주도의 끌려가기식 발전 양상
Ⅳ. 사회적경제를 통해 본 시민정치: 시민이 주도하는 연대의 경제
Ⅴ. 성북구 사회적경제의 향후 과제
Ⅵ. 맺음말
제6장 은평구 사회적경제의 지역혁신: 지역현안 주거, 문화, 여성 사례분석
Ⅰ. 들어가며
Ⅱ. 분석틀과 접근 방향
Ⅲ. 은평구 사회적경제 조직 분석
Ⅳ. 중간지원조직과 은평구청
Ⅴ. 사회적경제와 지역혁신
Ⅵ. 결론-나오며
제3부 전국 지자체 사회적경제 사례 분석
제7장 광주 광산, 어우러짐의 자치를 통해 사람 내음 나는 사회적경제 ‘굳히기’
Ⅰ. 들어가며: 사회적경제, 그거 가난한 사람이 하는 거 아니야?
Ⅱ. 광산구 어디까지 알고 있니?
Ⅲ. 광산구의 사회적경제 ‘굳히기’
Ⅳ. ‘어우러짐의 살림살이’를 향하여
Ⅴ. 찻잔 속의 태풍이 아닌, 언제나 느껴지는 산들바람이 되기를
제8장 구도심 문제에 대한 현실적 대안: 인천 남구 사회적경제 로컬 거버넌스
Ⅰ. 인천 남구: 구도심과 사회적경제
Ⅱ. 사회적경제 활동 현황
Ⅲ. 사회적경제 활동 사례
Ⅳ. 사회적경제 로컬 거버넌스
Ⅴ. 결론: 사회적경제를 지역 단위로 볼 필요성
제9장 민주주의 학습으로서의 사회적경제: 전북 완주군의 사회적경제 활성화와 주민 의식 변화
Ⅰ. 들어가며
Ⅱ. 완주군 사회적경제와 지속가능한 농촌
Ⅲ. 사회적경제와 임파워먼트: 주민 의식 변화를 중심으로
Ⅳ. 결론 및 제언
제10장 지역 활성화 전략으로서의 사회적경제: 전주시 행위자들의 제도·정책·전략을 중심으로
Ⅰ. 들어가며: 개괄 및 전주 사회적경제 현황
Ⅱ. 전주의 고민과 선택: 도시쇠퇴와 2014년 지방선거
Ⅲ. 전주시 사회적경제 행위자 분석: 시민과 시장
Ⅳ. 행위자의 정책·제도·전략으로 본 전주시 사회적경제
Ⅴ. 나가며
제11장 사회적경제는 도덕적 경제다: 충북 옥천의 지역공동체 실험
Ⅰ. 문제제기: 경제와 도덕
Ⅱ. 방법과 대상
Ⅲ. 도덕의 활로
Ⅳ. 의미의 경제
Ⅴ. 결론: 도덕공동체의 경제적 재구성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