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아르케북스 39권. '러시아의 우주론적 사유의태동과 발전', '자연철학적 우주론을 대변했던 과학자들의 사상', '종교철학적 우주론을 대변했던 신학자들의 사상', '동양의 신비철학적 우주론을 대변했던 영성가들의 사상' 등 총 6장으로 구성되었다.
목차
머리말
제1장 러시아의 우주론적 사유의태동과 발전
01 21세기, 우리는 왜 러시아 우주론에 주목해야 하는가?
02 러시아 우주론은 어떤 배경에서 태동했나?
1. 우주론의 기원: 전설과 신화적 세계관
2. 서양과학사에서 본 우주론의 체계화와 변천 과정
3. 러시아 우주론의 발전과 탄압, 그리고 부활의 과정
03 러시아 우주론: 과학, 종교, 예술의 통합적 사유체계를 담는 그릇
제2장 자연철학적 우주론을 대변했던 과학자들의 사상
01 러시아 우주론의 선구자 니콜라이 표도로프의 사상
1. 니콜라이 표도로프의 청빈한 삶과 고매한 인격
2. 고전 역학을 넘어선 표도로프의 자연과 과학에 대한 관점
3. 자연을 개조하라!: 진화를 넘어 재생으로
4. 코스모폴리탄이여, 우주로!
5. 표도로프, 부활과 불멸을 과학의 관점으로 이해하다
6. 표도로프 학설이 남긴 지적·문화적 유산
02 러시아 우주항공학의 아버지 콘스탄찐 찌올콥스키의 과학과 철학
1. 우주비행과 로켓 연구에 온 생生을 바친 찌올콥스키
2. 과학자 찌올콥스키의 철학사상에 대한 작가들의 반향
3. 찌올콥스키의 우주윤리학과 윤회적 관점의 예술적 표출
4. 예술적으로 변용된 찌올콥스키의 원자론
5. 찌올콥스키의 일원론 사상에 대한 생사관生死關의 미적 형상화
03 러시아 과학계의 전설 블라지미르 베르나드스키의 진화론과 러시아 문학
1. 베르나드스키의 ‘생명권’과 ‘정신권’ 개념
2. 베르나드스키의 ‘살아있는 물질’에 내재된 물활론적 의식
3. 만물의 유기적 전체성에 입각 한 친족의식
4. ‘기술권’: ‘생명권’에서 ‘정신권’으로의 통과 과정
5. ‘정신권’으로 대변되는 진화론적 윤리의식 표출
제3장 종교철학적 우주론을 대변했던 신학자들의 사상
01 인류를 ‘거대한 가족’ 개념으로 본 니콜라이 표도로프의 만민부활론
1. 진정한 형제애를 갈망했던 표도로프는 왜 그리스도교를 비판했나?
2. ‘아버지들’을 부활시키는 ‘아들들’의 과학적 임무란 무엇인가?
3. 도스토예프스키는 표도로프의 사상을 어떻게 접하게 되었나?
4. 표도로프의 ‘아버지 부활’ 사상에 대한 도스토예프스키 소설의 반영
5. 메멘토 모리Memento Mori! 죽음을 기억하라!
6. 표도로프의 만민구원론에 대한 도스토예프스키의 예술적 공감
02 진화론과 그리스도교 관점을 연결한 블라지마르 솔로비요프의 신학 혁명
1. 신神과 과학, 창조론과 진화론은 화해할 수 없는 것일까?
2. 솔로비요프, 종교 철학에 ‘진화’의 개념을 도입하다
3. 종교적 위기 극복의 대안: ‘로고스Logos’에 ‘소피아Sophia’ 개념을 도입하다
4. 새로운 종교 문화 패러다임: 인간이여, 죄의식에서 벗어나라!
5. 우리 시대의 ‘교회’와 ‘사제’는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가?
03 소우주-대우주 상응론에 입각한 니콜라이 베르쟈예프의 창조적 그리스도교
1. 종교여, 정신차려라!: 새로운 영성을 염원했던 베르쟈예프
2. 인간을 소우주로 보는 베르쟈예프의 관점과 중세 신비철학
3. ‘역사상 예수historical Jesus’에서 ‘우주 그리스도Cosmic Christ’ 추구로의 전환
4. ‘검은’ 그리스도교와 ‘흰’ 그리스도교의 충돌
5. 신神과 함께 하는 창조행위, ‘테우르기야’로서의 예술
제4장 동양의 신비철학적 우주론을 대변했던 영성가들의 사상
01 진리의 전도사 옐레나 블라바츠카야의 신지학과 통합사상
1. ‘신지학’에 대한 정의와 블라바츠카야가 세계 지성계에 남긴 영향
2. 기술의 발전과 과학의 미래를 예견했던 심령학자
3. 비범했던 여인 블라바츠카야의 영적 성장과 ‘샴발라Shambhala’ 잠입
4. 신지학협회의 창립 과정과 사명
5. 블라바츠카야의 영혼의 철학을 통해 부활한 과학·종교·철학의 통합정신
02 니콜라이 레리흐와 옐레나 레리흐의 영적 탐색과 문예 운동
1. 영적 동반자 니콜라이 레리흐와 옐레나 레리흐의 만남과 동양에 대한 관심
2. 인도와 중앙아시아에서의 학술 탐험 활동
3. 『생生의 윤리학』: 인간의 심리에너지와 인류의 우주적 진화에 대한 영적 계발서
4. ‘문화’, 그 신성함과 인간 변형의 모태여!
5. 레리흐 부부의 문화재 보호운동과 문화를 통한 평화운동
03 동양의 신비주의를 유럽에 전파한 게오르기 구르지예프의 수행철학
1. 동서양 철학을 넘나들며 세계 정신문화사에 새 역사를 쓴 구르지예프
2. 카프카즈의 신비가, 구르지예프의 성장환경과 구도여행
3. 동서양의 경험과 양식을 결합하는 사유체계와 글쓰기 시도
4. 구르지예프의 ‘제4의 길the fourth way’과 에니어그램Enneagram
5. 구르지예프 무브먼트Movement: 유라시아적 융합의 명상 예술행위
제5장 러시아 우주론에서 확장된 현대 문화담론
01 러시아 우주론과 생태학의 문제
1. 생물평등주의 관점에서 재정립해야 할 인간과 자연의 관계
2. 베르나드스키의 ‘생명권’과 제임스 러브록의 ‘가이아Gaia’ 가설
3. ‘가이아’의 시적 형상화와 에코페미니즘ecofeminism
4. 시베리아의 생태 중심주의에 내재된 샤머니즘 의식
5. 기억하라! 너의 뿌리를 잊지 말아라!
02 트랜스휴머니즘Transhumanism 사상과 사회문화 담론
1. 러시아 트랜스휴머니즘 운동의 배경: 휴먼에서 포스트휴먼으로
2. 트랜스휴머니즘의 원조 러시아, ‘신新인류’ 개념을 제시하다
3. 러시아, 인간에게 우주로의 진출 가능성을 최초로 제시하다
4. 러시아, 인간의 노화와 죽음 극복에 대한 다양한 가능성을 제시하다
5. 러시아의 생명체계 복원을 위한 노력, 나노공학과 인체냉동 보존술로 다시 보다
6 러시아 망명 과학자들과 현대 트랜스휴머니즘 운동의 전망
제6장 러시아 우주 철학의 의의와 전망-세상을 움직이는 힘: 나, 우리 그리고 우주-
1. 홀로그램hologram적 우주관: 새로운 인식 패러다임의 전환을 지향하며
2. 과학과 종교의 진솔한 대화를 지향하며
3. 분과 학문의 개별성과 폐쇄성을 넘어서는 트랜스내셔널 인문학을 지향하며
4. 인간 진화의 길: 과학과 윤리 논쟁의 경계 넘기를 지향하며
5. 편협한 종교의 장벽을 넘어서는 실천 윤리를 지향하며
미주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