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책을 펴내면서
서문
서론|민주화와 민주화운동의 이론적 고찰 / 신명순
1. 민주화 연구의 전개
2. 민주화의 개념: “공식적”민주화와 “실질적”민주화
3. 민주화의 단계
1장|4·19 혁명과 5·16 쿠데타 / 박광주
1. 국가 건설 과정으로서의 민주화
2. 경찰국가화한 대한민국
3. 4‧19 혁명은 왜 일어났으며, 무엇인가
4. 5‧16 쿠데타는 왜 일어났으며, 무엇인가
5. 결론: 혁명과 반혁명의 유산
2장|제3공화국 시기의 민주화운동: 좌절 요인과 특성 / 김영래
1. 문제의 제기
2. 민주화운동의 개념과 연구 범위
3. 제3공화국의 형성과 정치체제 특성
4. 한일회담 반대 운동과 민주화운동
5. 6‧8 부정선거 규탄 운동과 민주화운동
6. 3선 개헌 반대 운동과 민주화운동
7. 1971년 양대 선거와 민주화운동
8. 교련 반대 운동과 노동 탄압 반대 운동
9. 결론: 민주화운동의 좌절 요인과 특성
3장|유신 체제 전반기의 민주화운동의 전개: 억압과 저항의 동학 / 이정희
1. 들어가며: 분석들
2. 유신 체제의 성립과 그 성격
3. 유신 체제 반대 운동의 주체와 그 역량
4. 유신 체제 반대 운동의 전개와 유신 정권의 탄압
5. 나오며: 유신 체제 전반기 민주화운동의 평가
4장|유신 체제 후반기의 민주화운동과 유신 붕괴의 동학: 긴급조치 9호부터 10·26까지 / 이내영
1. 서론
2. 이론적 논의와 이 장의 접근 방법
3. 유신 후기의 지배 체제: 긴급조치 9호와 안보 동원 체제
4. 유신 후기 민주화운동의 전개와 특징
5. 유신 체제의 붕괴 과정과 원인
6. 맺음말: 유신 후기 민주화운동의 특징·성과·한계
5장|민주화운동의 좌절: 1980년 서울의 봄에서 광주항쟁까지 / 윤성이
1. 서론:1980년 한국의 민주주의
2. 민주화운동의 정치 기회 구조
3. 1980년 서울의 봄
4. 광주민주화운동
5. 결론:1980년 민주화운동 평가
6장|제5공화국 시기의 민주화운동 / 한정택
1. 서론
2. 정치 부문: 정당, 선거 등
3. 시민사회 부문
4. 대미 관계 부문
5. 경제 부문
6. 민주화운동의 응집과 6월항쟁
7. 결론
7장|민주화 이후 한국 민주주의의 공고화: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정부 / 김영명
1. 노태우 정부와 민주주의의 되살림
2. 김영삼 정부: 민주화의 진전과 지역 붕당 체제
3. 김대중 정부: 민주주의의 정착과 지역 붕당 체제의 심화
4. 결론
8장|한국 민주주의 도전과 대응: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 정부의 민주화 조치를 중심으로 / 손병권
1. 서론
2. 민주주의 심화에 대한 두 가지 시각과 각 정권의 민주주의 평가 기준
3. 각 정부 시기에 취해진 민주화 조치의 내용과 평가
4. 결론
결론|한국의 민주화운동과 민주화: 성공과 좌절 / 김용철
1. 문제의 제기
2. 이론적 분석들
3. 사례의 질적‧분석적 역사서술
4. 사례의 비교 분석
5.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