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 근대소설의 기원 = (The) origin of Korean modern novel
발행연도 - 2012 / 지은이: 권보드래 / 소명출판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2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386387
-
ISBN
9788956267494
-
형태
443 p. 23 cm
-
한국십진분류
문학
>
한국문학
>
소설
-
카테고리분류
에세이/시/희곡
>
한국문학
>
한국문학의 이해
목차
증보판 머리말
초판 머리말
제1장, 서론_민족ㆍ근대ㆍ소설
1. '1900년대'라는 시기
2. 문제 제기와 연구의 시각
제2장, '문학'범주 형성의 배경
1. '지ㆍ덕ㆍ체'와 '지ㆍ정ㆍ의'
1) '문학'의 형성과 지ㆍ정ㆍ의론
2) 지ㆍ덕ㆍ체론과 '문학' 이전의 세계상世界像
2. '미술' 개념의 추이와 예술
1) 식산흥업殖産興業의 이념과 '미술'
2) 서화書畵의 새로운 부각과 '예술'
3. '문文' 개념의 함의와 근대문학
1) '문文' 담론의 양상
2) 자국어와 정情의 가치
제3장, '개량'의 의미와 소설의 민족성
1. 소설 개량론과 '풍속'의 의의
1) 영웅의 상像과 자국어의 발견
2) '기記'의 의식과 풍속 개량
2. '국민'의 가치와 소설 언어
1) 이중 기획으로서의 국한 문제
2) 국민의 동질화와 국문체
3. 자국어 구상과 담론적 특징
1) 문자 언어와 알레고리
2) 현장성의 층위와 음성 언어
제4장, '내면'의 형성과 소설의 예술성
1. 풍속론의 해체와 언어의 질서
1) '자아'의 등장과 언어
2) 시적 질서의 모색과 자국어 시
2. '사실'의 제도화와 허구의 기획
1) 신문의 담론적 특성과 소설
2) 정보의 형식과 공사公私의 영역
3. 소설의 문체적 정립과 '현실'의 근거
1) 시ㆍ공간의 변화와 '~다'체
2) 내면성의 현실적 효과
제5장, 결론_종말과 기원
부언_2006년의 몇마디
부록1-1_ 1900년대 풍속 자료 解題
부록1-2_ 가정주의
부록1-3_ 서호문답西湖問答
부록2-1_『학지광』제8호와 편집장 이광수
부록2-2_ 이광수 발굴 자료
참고문헌
부록_ 참고문헌
찾아보기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