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Essays On Design 시리즈 12권. 건축가가 되기로 마음먹은 소세키가 머릿속에 그리던 디자인의 세계란 어떤 것이었을까? 소세키의 소설, 강연록, 일기, 편지 등을 ‘디자인’이라는 필터를 통해 살펴보면서 이와 같은 질문들에 답한다.
목차
프롤로그
제 1장 건축가를 꿈꾼 소세키
소세키가 건축가가 되려 했던 이유
건축가를 꿈꾼 소세키가 본 거리와 건축
꿈으로 끝나버린 ‘건축가?나쓰메 소세키’
소세키와 다쓰노 긴고의 이상한 인연
시바 료타로가 말하는 다쓰노와 소세키, 그리고 건축과 문학
빌더builder와 아키텍트architect의 차이
제 2장 소세키의 디자인론
‘문명으로서의 디자인’ 시대, 그리고 ‘디자이너’의 탄생
문명 개화에 대한 소세키의 비판적 시선
소세키의 ‘문학과 디자인’론
디자인과 언어의 관계에 대하여
문학은 퍼스널personal, 디자인은 유니버셜universal
다니자키 준이치로의 《음예 예찬》과 소세키에 대하여
디자인의 ‘기술 가치’와 ‘감화 가치’
문학과 디자인에 내재하는 ‘법칙’이란
젊은이를 향한 소세키의 애정 어린 시선
제 3장 모방과 독창성
흉내 내기는 인간의 본능이다
이미테이션imitation과 인디펜던트independent
피카소와 고흐, 천재들의 모방
인디펜던트에 필요한 강한 의지
두 번째 디자인 유전자의 변이
물건을 향한 꿈에서 깨어나, 인간 중심의 디자인으로
제 4장 직업으로서의 작가와 디자이너
전업轉業에 모든 것을 건 소세키의 비장한 결의
직업이란 그것으로 먹고살 수 있는 것
직업의 전문화와 세분화의 폐해
도락道樂은 창조력의 원천
‘문화인’으로서의 작가와 디자이너
제 5장 소세키의 환원적 감화론
디자인에 의한 ‘감화 가치’란 무엇인가
‘지知·정情·의意’로 대별되는 창조적 의식
문예와 디자인에서 ‘이상理想’이란
100년 후를 디자인할 그대에게
제 6장 자기 본위주의를 권한다
자기 방위로서의 ‘자기 본위’주의
좌절을 통해 불굴의 정신을 기른다
소세키의 《산시로》와 모리 오가이의 《청년》
‘나 자신’을 넘어서
에필로그
부록
참고 문헌
나쓰메 소세키와 디자인 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