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2012~2014년간 세 차례에 걸쳐 개최된 국제학술회의에서 발표된 41편의 논문 가운데 13편을 선별하여 묶은 것이다. 선별을 위해 우선 연도별 주제(중국, 일본, 한국)와 필자의 출신 지역이 고루 배치되도록 고려했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책을 펴내며
총론-역사적 맥락에서 본 동아시아 문화의 교류와 공유 / 백영서·박경석
Ⅰ 상호인식과 세계관
1장 만다라曼茶羅로서의 중국 / 야마무로 신이치
1. ‘격리의 파토스’가 만들어낸 중국상
2. 반사(反射) 이미지로서의 일본, 그리고 공간심성
3. 교섭 중에 생겨난 공포와 모멸
4. 전문적 연구와 일반 인식의 괴리
2장 근대 중국의 자아 형상과 세계관 / 카와시마 신
1. 들어가면서
2. 중국이 부여받은 윤곽-헌법을 둘러싼 문제
3. 일본의 ‘아시아주의’ 담론과 중국의 아시아론-조공책봉론을 중심으로
4. 국민당의 아시아론과 조공·책봉 인식
5. 중국의 아시아 인식에 관한 일본의 논의
6. 맺음말
3장 근대 일본의 중국 인식 / 주린
1. 머리말
2. 나이토 코난의 일본사 인식-문화사 연구의 출발점
3. 「두부 만들기」설과 「동양문화」론-쓰다 소키치의 대척점에서
4. 중국문화 본위의 「파동설」-시대구분론과 관련하여
5. 맺음말
4장 ‘한자문화권’의 동상이몽 / 무라다 유우지로
1. ‘한자문화권’이란?
2. 한자, 한족, 중화
3. 아시아, 일본, 한자문화권
Ⅱ 문자와 텍스트의 교류와 연쇄
5장 “듕귁(中國)”과 “나랏말ㅆ·ㅁ(國之語音)”의 사이 / 정다함
1. 머리말
2. “국어”라는 전통의 발명과 “외국어”로 다시 정의된 “한문”
3. “국어”의 기원에 내재된 “중국”의 언어/문자
4. 한문/한리문/한어로 표상되는 15세기 동아시아 ‘한자공유체’와 조선의 훈민정음
5. 맺음말
6장 전통시기 동아시아에 표상된 조선 허준의 『동의보감』 / 박현규
1. 머리말
2. 동아시아에서 『동의보감』 전래
3. 동아시아에서 『동의보감』 수용
4. 동아시아에서 『동의보감』 출판
5. 맺음말
7장 일본어 연극 「춘향전」과 ‘관대한’ 제국의 역설 / 서동주
1. 1938년 경성의 ‘춘향전 붐’
2. 표류하는 「춘향전」
3. 식민제국/식민지의 분할선과 두 개의 ‘모더니즘’
4. ‘관대한’ 제국의 역설
8장 동아시아 문화 속 『구운몽』의 어제와 오늘 / 사오이핑
1. 출판
2. 서명
3. 본문
4. 임무
5. 의견
Ⅲ 문화의 혼융과 주체성, 그리고 미래
9장 역사에서 본 한일관계와 문명전환 / 정재정
1. 한국과 일본의 문명전환을 어떻게 볼 것인가?
2. 한일관계와 문명교류
3. 한국과 일본은 서로에게 어떤 존재인가?
10장 근대 이전 한중일 문화교류 및 국가관의 충돌 / 김문경
1. 한자문화권의 특징
2. 한일의 한문 훈독 및 불경 한역
3. 일본의 범화동일론, 본지수적설, 삼국세계관
4. 한반도의 언어관과 세계관
5. 중국의 중변논쟁과 천하관의 전이
6. 동아시아의 ‘대국’이라는 마음속의 응어리
7. 맺음말
11장 청각매체의 ‘국경 넘기’와 타이완 음성문화의 혼잡성 - 리청지
1. 청각 전파기술과 음성문화
2. 구술문화에서 음성문화까지
3. 문화의 혼잡성-‘황싼위안 풍격’의 형식에 대한 분석
4. 문화지형학-「이별」의 동아시아 여행
5. 문화 주체에서 문화지형학까지
12장 홍콩의 역사와 정체성, 교육과정에서의 ‘중국다움’ / 에드워드 비커스
1. 역사는 민족으로부터 구출되었는가? 아니면 귀속되어 버렸는가? : 홍콩의 법적 지위 간의 모순
2. 정치에 무관심한 사회화를 위한 학교교육: 식민 유산
3. 1980년대-정체성 인식의 미세한 침투: 국가와 지역
4. 1989~1997년: 중단
5. 1997~2010년: 애국적 재교육과 학교교육-굳어지는 공식 방침
6. 2012년의 도덕교육 및 국민교육에 관한 논쟁
7. 맺음말
13장 전후 일본의 평화운동과 일본평화학회 - 엔도 세이지
1. 머리말
2. 전후 일본 평화운동의 가치지향성
3. 지식인의 평화운동으로서의 ‘평화문제담화회’
4. 일본평화학회의 설립과 전개
5. 현대일본의 평화와 평화가치
부록-동아시아연구포럼 연혁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