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첫 번째 공간: 여주주택 소운
내게 왜 집이 필요했을까?
진정 원하는 것
관습, 관행, 카탈로그
위치를 정하다
집 지을 터를 정하다
지형, 땅의 형상을 읽는다는 것
선례를 떠올리다
원하는 공간
터를 닦기
축대와 담
집으로 들어가는 과정
‘집’이라는 우주를 조직하다
집을 앉히다
좌표를 정하다
건물의 방향을 보다
공간의 포석: 실,내외의 영역을 나누기
평면의 실루엣, 또는 집의 윤곽
구별되는 공간: 서로 다른 평면과 단면
구별된 내부 공간 1. 거실 함께 머무는 공간
구별된 내부 공간 2. 서재, 세계를 확장하는 공간
구별된 내부 공간 3. 작은 방, 잠자는 공간
구별된 내부 공간 4. 부엌과 식탁, 함께 나누는 공간
구별된 내부 공간 5. 마루, 휴식과 성찰의 공간
구별된 내부 공간 6. 손님방, 초대받은 분들의 거처
구별된 내부 공간 7. 다락, 묵상의 공간
구조의 체계 - 형식과 내용
재료
크기와 치수
집의 형태
네 개의 마당, 네 개의 빈터
무한대로 펼쳐지는 공간 경험의 가능성
변하는 공간
소운에 거주하기
공부하는 집
함께 머무는 집
홀로 머무는 집
노동하는 집
공포의 집
꿈속의 집
소운: 집의 이름 짓기
두 번째 공간: 후암동 소율
일하는 집, ‘소율’
내 이름은 빨강
아버지의 공간을 찾아서
용산구 후암동, 시간이 쌓인 골목길 풍경
작은 필지, 작은 개발, 작은 경제
한계와 가능성
일하는 집의 조건 :작업과 공부, 소통과 거주
구조 체계
조립의 기쁨
콘크리트 포디엄과 지하 공간
도시와 만나기, 소통의 공간 1층
하나로 열린 평면, 작업 공간 2층
일과 거주, 중층적 공간 3층
디테일
환경을 제어하는 장치, 심리에 대응하는 장치
집 속의 집들
집 속의 집 1. 매달린 집
집 속의 집 2. 삽입된 나무 박스
집 속의 집 3. 옥상 위의 정자
옥상의 정원 - 관조의 공간
오래 자란 꿈
1992년 여름, 늦은 오후
집에 담긴 소명, 아버지의 공간에서 우리의 공간으로
맺는 글
주택을 설계하는 기쁨
‘집의 집’을 짓다
당신의 집에서 우리의 도시로
우주의 중심에서 오늘을 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