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10대를 위한 책도둑 시리즈 23권. 사회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민주주의와 자본주의가 어떻게 도입되고 발전해 왔는지, 신자유주의는 무엇인지, 어떤 정치와 경제가 좋은지 등 다양한 사회 이야기를 정치, 경제, 역사적 관계 속에서 입체적으로 들여다본다.
목차
들어가는 말│‘SNS’ 즐기며 ‘사회’도 모른다면
1부 사회와 나는 어떤 관계일까?
1장 ‘나는 사회와 무관하다’라는 무서운 착각
세월호, 한국 사회가 만들어낸 비극
무분별한 규제 완화의 결과
듣기 좋은 말에 숨겨진 비밀
사회와 무관한 개인은 없다
세월호 선장과 ‘대한민국호 선장’은 닮은꼴?
남녀의 성별 차이도 사회적 차이인가요?
2장 내가 사는 사회, 대체 뭐가 진실이지?
시점에 따라 보이는 면이 달라진다
한국 사회에 보내는 찬사?
통계로 본 한국 사회
비판적 사고는 부정적 사고가 아니다
한국 사회의 진실
문제를 알아야 해답이 보인다
사회에서 개개인의 경쟁은 불가피할까요?
경쟁을 비판하는 ‘다중지능’이 경쟁을 부추긴다?
2부 사회는 어디까지 커왔을까?
3장 사회도 나처럼 성장한다
사회는 어떻게 만들어졌나?
사회의 범위가 운명을 갈랐다
신분제 사회의 형성
19세기 조선 사회의 모습
시민혁명이 신분제를 붕괴시키다
민주주의는 저절로 오지 않는다
영국혁명, 미국 독립혁명, 프랑스혁명은 어떻게 다른가요?
민주주의 사회와 자본주의 사회는 같은 말인가요?
돈이 사람들을 평등하게 만들었다?
4장 사회가 성장해온 힘
자본주의 사회의 등장
애덤 스미스의 자본주의 비판
복지 사회의 발전
자본주의 사회에서 비로소 개인이 탄생했다?
인생에 가장 중요한 사회적 관계는 무엇인가요?
여성 투표권은 남성들이 ‘배려’했을까요?
5장 신자유주의 사회: 돈이 독재하는 사회
미국의 위기와 신자유주의의 대두
신자유주의의 민낯
미국에서의 신자유주의 비판
자본 독재를 넘어 경제적·사회적 민주화로
프란치스코 교황은 왜 현대 사회를 독재라 했을까요?
이자로 살아가는 사람을 ‘안락사’시켜라?
6장 한국 사회는 어떻게 커왔을까?
신분제 사회의 벽을 넘지 못한 공론
조선 신분제 질서의 위기
외세를 끌어들인 조선의 지배세력
식민지 사회에서의 독립운동
4월 혁명
유신정권 반대 투쟁
5월 항쟁과 6월 민주 대항쟁
노동자 대투쟁과 경제 민주화 운동
사회 성숙의 걸림돌 ‘외세 개입’
동학농민혁명은 어떤 혁명인가요?
민중은 좌파 개념이 아닌가요?
3부 사회는 앞으로 어떻게 성숙할까?
7장 어떤 정치로 사회는 성숙할까?
정치가 사회를 틀 지운다
민주주의란 무엇인가?
공론장과 민주주의의 확장
민주주의의 성장통과 성숙
사회 불평등을 부추기는 정당을 왜 지지할까요?
우리 역사에 묻혀있는 새로운 사회의 싹
8장 어떤 경제가 사회에 좋을까?
경제 성장이라는 신화
외환위기와 신자유주의의 본격화
좋은 경제란 무엇인가?
좋은 경제와 노동의 창조성
침몰한 타이타닉 호가 자본주의를 살렸다?
경제는 더 성장하는데, 왜 사람은 더 불행할까요?
9장 세계 시민으로 살아가려면
사회 성장의 역사
세계 시민과 열린 마음
미국 변호사가 놀란 독일 사회의 모습
참담한 한국 사회의 현실
‘자본주의는 악마’라고 외친 미국의 시위대
어떤 정치와 경제가 좋은 사회를 만들까?
지구촌의 남북문제는 무엇인가요?
한국에 사는 외국인들을 어떻게 만나야 하나요?
나가는 말│어떤 ‘사회적 관계’를 맺어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