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생각하는 마르크스 : 무엇이 아니라 어떻게 = How Marx?
발행연도 - 2017 / 지음: 백승욱 / 북콤마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1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383705
-
ISBN
9791187572015
-
형태
527 p. 22 cm
-
한국십진분류
철학
>
서양철학
>
독일, 오스트리아철학
-
카테고리분류
인문
>
서양철학
>
마르크스주의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자본주의는 늘 변신하고, 항상 새로운 과제와 시련에 직면한다. 마르크스가 ‘무엇’을 말했는지만 암송하고 마르크스가 ‘어떻게’ 사유했는지를 모른다면, 변화하는 현실 속에서 자기 머리로, 자기 판단으로 변하는 현실에 대응할 수 있을까.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책머리에
마르크스와 더불어 생각하기
추상화할 수 있는 힘
세 가지 시간: 마르크스의 거울 1
화폐: 마르크스의 거울 2
노동력: 거울이 아닌 적대
재생산: 자본과 노동의 비대칭성
개인적 소유: 마르크스의 미래 전망
마르크스는 어떻게 자신의 사유 세계를 수립했는가 : 인식론적 단절의 계기로서 <포이어바흐 테제>
프랑스혁명의 철학으로서 헤겔이라는 계기
포이어바흐에 의한 청년헤겔파의 구원
포이어바흐 테제
《자본》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자본》을 이해하려면
《자본 Ⅰ》의 독해
《자본 Ⅱ》·《자본 Ⅲ》의 독해
숨겨진 자본주의 세계는 어떻게 드러나는가 : 마르크스와 사회적인 것
경제학 비판과 사회적인 것의 갈래
사회적 관계의 존재론
중단된 기획으로서 소유의 문제 설정
정치경제학 비판과 사회적인 것의 삼중 공간
재생산의 '자연성' 또는 재생산의 위기
사회적인 것의 또 다른 공간, '사회적인 것 2'
마르크스의 사유는 어떻게 확장되는가 : 발리바르와 '정치의 개조'
왜 발리바르인가?
마르크스의 정치경제(학) 비판에서 마르크스주의의 위기까지
프로이트-마르크스주의를 넘어
세계화라는 정세 조건
정치의 개조 1: 인권의 정치
정치의 개조 2: 시빌리테의 정치
마르크스의 난점과 공백을 어떻게 넘어서는가 : 과잉결정과 이데올로기
모순과 과잉결정
이데올로기
인문, 마르크스에게 말걸기
인문
마르크스
윤리
윤리 비판
바리케이드 위에 서기
참고 문헌
주요 개념어 찾아보기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1 |
50대 | 4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4 |
2018년 | 1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